경주역사에 죄인으로 남지 않으려면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요청사업 신청 시한을 얼마 남기지 않은 시점에서 경주시가 마련한 안이 미흡하다며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경주의 운명을 결정할 중요한 안을 경주시가 지역여론 수렴과정도 거치지 않고 졸속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처럼의 기회를 날릴 수 있다는 우려를 바탕으로 산자부에 대한 제출시기를 연기해서라도 제대로 된 안을 만들라는 주문이다. 경주시의 안에는 대부분이 이미 현재 진행 중인 사업들이고, 큰 틀에서 경주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새로운 사업이 없다는 것이다. 역사문화도시사업과 중첩된 내용이 많고, 도로교통망 확충 같은 지극히 당연한 사업들로 채워졌다는 지적이다.
경주신문은 그동안 방폐장 유치에 따른 후속조치들에 대해 보다 치밀하게 대응해야한다는 점을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해 왔다. 방폐장 유치로 인한 각종 지원과 혜택을 경주발전의 계기로 삼아야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게 아니면 19년간이나 갈 곳 없이 떠돌던, 전 인류가 기피하는 핵 쓰레기를 가져온 보람이 없기 때문이다.
방폐장 유치 그 자체는 백해무익한 두고두고 골칫거리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반박하지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절대다수의 시민들이 찬성에 표를 던졌겠는가? 그것은 이로 인한 각종 혜택이 침체된 경주발전의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암울한 경주현실을 타계할 절호의 기회라는 인식과 기대심리로 숨가쁜 결정을 하고 춤을 추고 잔치를 벌였던 것이다.
그러기에 방폐장 이후문제는 결코 안일하게 대처해서는 안 된다. 처음 방폐장 유치에 불을 지필 때의 애절한 심정으로 돌아가 제대로 해야 한다. 우리 모두 역사에 죄인이 되지 않으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