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교육청, 독후감 공모
작은 도서관 개관 100일 기념
경주교육청(교육장 권종수)은 지난 4월 12일 교육청 내에 마련한 작은 도서관 개관 100일 기념으로 독후감 공모 행사를 갖는다. 이번 행사는 주민과 함께 하는 독서문화를 정착시키고, 작은 도서관을 활성화하며, 잠재된 이용자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대상=학생 및 일반인 ▲모집기간=6월 12일~21일 ▲대상도서=자유 ▲원고분량=200자 원고지 10매 또는 A4용지 2장(12 포인트) ▲제출처=경주교육청 작은 도서관 ▲발표=6월 28일 경주교육청 홈페이지(www.kbgjed.go.kr)
‘내가 표현하는 우리 문화재’ 시상식 및
‘한ㆍ중ㆍ일 동심의 세계’ 특별전시
국립경주박물관(관장 김성구)은 7일 오후 3시 지난 5월 22일에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제22회 내가 표현하는 우리 문화재’ 대회 입상자에 대한 시상식을 수상자, 지도교사, 학부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촐하게 가졌다. 이날 시상식에서 ▲으뜸상(1명)=이유나(경주초 6) ‘장창골 석조미륵삼존불상’ 문화관광부장관상 ▲버금상(3명)=최은진(동천초 4) ‘석조금강역사상얼굴’ 국립중앙박물관장상, 허수민(포항남부초 3) ‘금동보살판불’ 경북도지사상, 이은아(안강제일초 6) ‘귀면무늬전돌’ 경북도교육감상 ▲솜씨상(12명)=이유진(불국사초 6) 녹유사천왕상전 경주시장상, 정해정(유림초 5) 석조불입상 경주교육청교육장상, 최은별(나원초 4) 성덕대왕신종 울산강북교육청교육장상, 김희주(경주초 3) 토우장식항아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상, 하유진(동천초 2) 금동불입상 경주박물관회장상, 곽아연(서라벌초 1) 금동불입상 신라문화동인회장상, 강태준(용강초 6) 녹유사천왕상전 포항시장상, 김가영(경주초 5) 금강역사상얼굴 포항교육청교육장상, 김현아(경주초 4) 범종 울산강남교육청교육장상, 양가영(내남초 3) 토우장식항아리 국립경주박물관장상, 강무성(월성초 2) 서수형토기 경주문화원장상, 오유나(유림초 1) 굽다리접시 신라문화동인회장상 ▲지도교사상(4명)=김정희(경주초), 정건아(유림초), 홍동화(나원초), 김혜자(용황초) 이상 국립경주박물관장상 ▲보람상(72명) ▲ 꿈나무상(245명)이 각각 시상되었다.
이 대회는 어린이들이 문화재를 감상하고 이를 재창조해 보는 과정을 통해 우리 문화재에 대한 이해와 아끼는 마음을 일깨우고, 창의성과 자신감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1984년부터 해마다 그리기와 만들기 부문으로 실시해 오고 있다. 이번 대회에는 경주ㆍ포항ㆍ울산의 초등학생 500여명이 참가해 그중 모두 332점의 우수작품이 가려졌다.
또한 이날부터 오는 25일까지 특별전시관에서는 이번 대회 보람상 이상의 작품 80여점과 경주시의 자매결연 도시인 중국 시안(西安)시 및 일본 나라(奈良)시 어린이들의 그림 60여점 등 총 140여점으로 ‘한ㆍ중ㆍ일 동심의 세계’라는 이름으로 특별전시를 열고 있다.
이 특별전시는 올해로 세번째를 맞이하며 이웃하는 세 나라의 어린이들이 표현한 동심의 세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박물관의 어린이 교육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며, 국경을 넘나드는 동심의 세계 속에서 세 나라의 우호증진과 화합을 도모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으뜸상 수상자 인터뷰
이유나(경주초 6학년)
▲수상소감=이번 대회를 통해 우리 문화재를 더 많이 알게 되어 즐거웠고, 으뜸상을 받아서 정말 기분이 좋다.
▲주제선정동기=평소에 찰흙빚기에 어느 정도 자신감이 있었는데 장창골 석조미륵삼존불상을 봤을 때 조금 복잡하고 어렵게 보여 실력을 발휘하기에 적당한 작품인 것 같아 선택함.
▲수상경력=제19회, 21회 본 대회에서 각각 특선, 꿈나무상 수상함.
▲장래 희망=교사.
-버금상 수상자 인터뷰
이은아(안강제일초 6학년)
▲수상소감=문화재 그림은 평상시에 즐겨 그리던 풍경화와는 많이 달라서 힘들었지만, 색다른 맛이 있어 재미있었다.
▲그림공부는 어떻게 했나=우연한 기회에 미술학원을 다녔는데 선생님이 소질이 있어 보인다고 계속 공부할 것을 권유하여 지금까지 3년 반 정도 공부하고 있음.
▲수상경력=전국초등학교 과학상상화그리기대회 금상, 포항MBC 전국그림그리기대회 은상 등 수상경력 다수
▲장래 희망=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