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주변 ‘방사능 이상무’ 경북대 방사선과학연구소․주민대표 공동 시료 채취 조사결과 발표 한국수력원자력(주) 월성원자력본부(본부장 김옥경)는 지난 14일 양남면사무소에서 경주시 등 관계기관 및 환경단체, 지역 주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대 방사선과학연구소 (소장 강희동 교수) 주관으로 월성원전 주변 환경 방사능 조사 설명회를 개최했다. 경북대 방사선과학연구소는ꡒ지난 1년 동안 원전 주변 지역에서 월성원전 주변 6개 마을의 주민대표와 우리가 공동으로 채취한 토양, 식수, 지하수, 지표수, 빗물, 하천토양, 우유, 농산물, 지표생물, 육류, 해수, 해저퇴적물, 어․패류, 해조류 등 육상시료와 해양시료의 방사능 준위를 분석한 결과 원전 운영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방사능 오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ꡓ고 밝혔다. 이날 강희동 경북대 교수는ꡒ일부 시료에서 인공방사능 핵종인 세슘-137(Cs-137), 스트론튬-90(Sr-90), 탄소-14(C-14) 및 삼중수소(H-3)가 소량 검출 되었다ꡓ며 ꡒ세슘-137은 토양시료에서 킬로그램(㎏)당 최고 11.6베크렐(Bq), 해수시료에서는 리터(ℓ)당 최고 0.0035베크렐(Bq)이 검출 되었으며, 스트론튬-90은 솔잎 시료에서 킬로그램(㎏)당 최고 5.87베크렐(Bq)이 검출 되었으나 이는 과거 대기권 핵실험에 의한 영향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검출 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수준으로 원전의 운영에 의해 추가로 검출되는 경향은 없다ꡓ고 말했다. 강 교수는 또ꡒ탄소-14는 우유, 과일, 채소류 및 육류 시료에서 자연방사선 준위인 0.25Bq/gC의 수준으로 검출 되었고 삼중수소는 최대 농도가 빗물에서 리터당 292베크렐(Bq)이 검출 되었으나, 이는 과학기술부 고시 ‘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기준’중 삼중수소의 배수 중 배출관리 기준인 리터(ℓ)당 4만베크렐(Bq)의 0.73%에 해당하는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주민건강과 주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ꡓ고 밝혔다. 월성원전은 과학기술부 고시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의 방사선 환경조사 및 방사선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규정’에 의거 매년 주변의 2천700여개의 환경 시료를 자체적으로 채취․분석하고,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지역대학인 경북대 방사선과학연구소에서 분석한 시료 650여개와 월성원전 주변 6개 마을 주민 대표와 공동 채취한 시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