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도시조성 기대는 큰데… ’ 정부계획 신뢰는 여전히 낮아 정부의 경주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과 관련해 경주시민 대부분이 경주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으나 계획에 대한 신뢰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종복 국회의원(한나라당)은 지난달 4일 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사업과 관련해 여론수렴 및 문화재와 관광관련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경주 전역에 거주하는 만20세 이상 남여 7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작위 전화여론조사에서 이 같이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정부의 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 계획에 대해 경주시민 62%가 신뢰를, 37.9%가 불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읍면지역보다 동지역 주민들이 불신이 높았다. 불신이유로는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이 41.2%로 가장 높았고 예산확보가 어렵고 예산 축소 가능성이 높아서가 27.9%, 과거 국책사업 보류 및 중단 경험이 있어서가 25.7%로 나타났다. 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의 법제화 필요성에 대해 시민 10명 중 9명(85.4%)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과거 대형 국책사업들이 추진과정에서 보류되거나 중단되었던 경험적 요인이 높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민들의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경주시민 86.9%가 역사문화도시조성사업이 경주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78.3%가 경주시가 세계적인 역사문화도시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경주가 역사문화도시로서 반전하기 위한 선결과제로는 △관광 편의시설 확충 및 서비스 개선(39.4%) △유적지 및 문화제보존과 관리강화(28.0%) △역사문화 및 관광자료 정보화 체계화(21.4%) △경주시의 문화적 역량강화(10.4%) 순으로 나타났다. 경주시민들은 문화유산 관련 법률 피해 최소화 방안으로 국가적 차원의 보상 확대(51.1%), 부상유치 및 지원확대(31.1%), 문화유산 법률 개정(17.4%) 순으로 꼽았다. 문화재 정비 및 복원사업 중 중점 추진사업으로는 황룡사 및 9층 목탑 복원(43.0%)과 남산 유물정비(40.4%)를 가장 높게 꼽았고 역사문화회관 및 예술회관 신축(23.7%) 황오․황남동 고분복원(22.0%), 전통 한옥지구정비(20.3%), 경주읍성복원(19.8%) 순으로 응답했다. 경주관광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경주만의 독특한 관광 프로그램 부족(39.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사문화 정보제공 및 홍보부족(23.0%), 관광서비스 의식부족(21.7%) 등이 순으로 응답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