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공장완화는 지방경제 말살정책 경북도 정치권, 시민단체 반발 확산 정부가 지난 4일 수도권지역에 공장 신․증설 허용 방침을 발표하자 지역 정치권을 비롯한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경실련 경북협의회는 지난 15일 성명서를 통해 “노무현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대기업 논리에 무릎을 꿇은 것이며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며 “지방도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문화와 교육, 여가시설에 대한 투자 순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경주지역 내에서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수도권공장규제완화를 반대하는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이 같은 방침으로 인해 수도권은 더욱 과밀화 되어 사회적비용 증가로 국가 경쟁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지방의 공장들이 수도권으로 역류되어 비수도권 경제는 파탄되고 주민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지방 죽이는 밀실정책, 수도권공장규제완화는 철회되어야 한다”고 성토했다. 한나라당 경북도당도 지난 17일 논평을 통해 “정부여당은 국토균형발전 정책이 착수되기 전에 수도권 규제를 완화하는 것은 결국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업도시, 혁신도시 등 지방의 성장 동력사업이 뿌리도 내리기 전에 존립기반 자체를 없애버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잘못된 결정”이라며 “이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갈등을 조장할 뿐만 아니라 지방공단을 죽이고 지역민의 생존권마저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또 “국민들은 참여정부가 지방 살리기 정권이 아니라 지방 죽이기 정권이 아닌가라고 생각한다”며 “지방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참여정부가 나서서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에 흔들림이 없도록 일관된 정책을 펼쳐야 하며 특히 수도권 규제완화가 원칙과 명분 없이 추진되어서는 절대 안된다”고 논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