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3. 친환경인증제도의 실태와 사례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해도 제값 받기 어려워 인식전환과 판로확보가 관건 과도하게 사용된 농약과 화학비료는 생태계를 위협할 정도로 심각하다. 수입산 농산물의 범람으로 입지가 좁아진 우리농업은 최근 웰빙붐으로 소비자들로부터 더욱 각광받는 친환경농업의 전환으로 그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다. 지난 93년의 유기, 무 농약재배 농산물의 품질인증을 시작으로 정부의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과 농업정책의 전환은 관련법 제정과 친환경농산물의 의무인증제도의 시행으로 농업의 친환경화를 이끌어 내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반이 취약한 지역의 친환경농업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주출장소(소장 김형오)의 최근 보고된 자료<표-1>에 의하면 유기농산물 1건, 전환기유기농산물 1건, 무 농약 29건, 저 농약 44건 총 75건으로 친환경농산물인증의 건수와 분포도를 보더라도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표-1> 특히 친환경인증부문 중에서 저 농약 부문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어 앞으로의 농정 방향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초기단계의 친환경농업도 문제지만 더욱 심각한 것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부족과 유통업자의 횡포에 가까운 유통질서의 문란이 더욱 문제다. 안강읍에서 시금치, 상추, 쌈배추 등 무 농약 엽채류를 생산하며 5년째 친환경농업을 하고 있는 이종태(49?초운농장)씨에 따르면 “친환경농산물은 일반농산물에 비해 더 많은 생산비와 관리비용으로 판매가격이 높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형유통업자들의 횡포에 가까운 가격책정으로 제값을 받지 못한다”며 “더 이상 무 농약재배를 고집할 이유를 못 느껴 내년부터는 일반으로 생산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할 정도로 친환경농업에 회의를 느낀다”고 말했다. 또한 경작면적이 2만평이 넘는 이씨는 “친환경농업에 대한 정부지원책이 마련되어 있지만 작목반에 우선배정하고 있어 생산규모가 작목반에 비해 훨씬 큰 개인농가에는 전혀 지원되지 않아 그림에 떡이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일반 농산물에 비해 생산비의 과다와 관리의 어려움 등 친환경농산물이 일반 농산물과의 비교우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친환경농산물의 차별화와 안정적인 가격보장이 선행된 유통, 친환경농업에 대한 정부지원의 확대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농민들의 다양한 목소리에 관계자들은 귀 기울여야 한다. 일선 생산농민들도 안전한 농산물의 공급을 위해 친환경농업에 대한 인식을 전환해야 할 것이며 또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확대를 위한 소비자들의 참여도 함께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농산물로부터 우리네 식탁과 건강을 보호하고 메뚜기, 우렁이, 자연생태계와 깨끗한 자연환경을 지키는 것은 물론 친환경농업은 더 이상 내일로 미루어서는 안 되는 우리농업 발전의 마지막 대안이 될지도 모를 일이며 친환경농업으로의 농정을 전환하는 일부 지자체들의 발 빠른 움직임은 좋은 예가 될지도 모른다.   이종협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