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이하 방폐장) 유치 결정이 11월2일 판가름 나게 됐다. 지난 15일 오전 10시 30분 산업자원부의 방폐장 주민투표 실시요구에 따라 유치 신청한 경주·영덕·포항·군산 등 4개 시?군은 주민투표 찬성률 높이기에 돌입했다. 경주 등 4개 시·군은 15~16일 주민투표 요구사실을 공표하고 기초의회의 의견수렴을 거쳐 11월2일 주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경주시는 16일 오전 10시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주민투표 요구사실을 공표하고 이날부터 주민투표 발의일인 다음달 4일까지 방폐장 유치 홍보활동을 펼칠 수 없지만 주민을 상대로 방폐장에 관한 객관적 정보 제공 등은 가능해 당분간 여기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백상승 시장은 15일 산자부장관실에서 가진 유치신청 지자체장 소감발표에서 “경주시는 군산과 포항, 영덕과 다른 큰 차이점이 있고 방폐장 유치에 아주 명백한 당위성을 지니고 있다”며 “방폐장 부지 선정시 원전이 있는 지역부터 신청 받아야 함에도 원전이 있는 지역이나 없는 지역이나 똑같은 잣대로 유치신청을 받는 정부의 방침에 우리 경주시민은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백 시장은 또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이 산자부와 한수원에 대해 불신이 대단하고 찬성률이 극히 낮은 것은 주민들이 제기한 민원을 지지부진하게 끌며 해결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주민투표 발의 전에 제시해주어야 한다”며 “우리 시는 타 신청지역에 비해 많은 어려움을 안고 절박한 심정으로 방폐장 유치신청을 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국책사업 경주유치단 관계자는 “그 동안 홍보로 시민들이 방폐장에 대해서는 많이 알고 있지만 아직 안전성 여부에 대해는 궁금해 하고 있는 것 같다”며 “방폐장 유치 여론 확산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방폐장 유치 반대측은 “원자력연구소와 한수원이 2002년 12월에 발표한 방사성폐기물 후보지 도출용역 보고서에는 부적합하다고 해놓고 이번에 적합하다고 발표한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성주기자<solmele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