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지하수를 개발하려면 가급적 화강암지대에서는 지하수개발을 피해야 하며, 개발할 경우 지하수심을 낮게 개발하여야 한다.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하수 개발 시 지하 암석 및 지하 수심 등을 고려하지 않고 수량 확보에만 주안점을 두고 개발하다 보니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재개발해야 하는 등 시간 및 예산 낭비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검출되고 있는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여러 가지 항목들 중 불소가 많이 검출되고 있는 지역에 대하여 2002년도와 2004년도 2년간 불소와 지하암석과 상관성을 조사했다. 또한 대수층의 깊이가 불소농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 결과 도내에서 지하수질에서 불소농도가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고 있는 지역의 불소농도와 지하암석과의 관계성을 평가한 결과 화강암 지역에서 불소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단층대가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지질대와 불소농도와의 관계성을 검토해 본 결과 화강암 암질의 단층대가 형성되어 있는 지역에서도 불소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미루어 단층대의 심부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는 불소가 용출됐다. 또 심부의 지하수(통상 지하 300m 이상 깊이)가 아니더라도 천부 지하수에서도 불소농도가 먹는 물 수질기준농도 이상의 고불소가 검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화강암의 심부 지하수가 천부의 지하수로 유입되어 불소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수 개발 시 화강암지대에서는 가급적 지하수개발을 억제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지하수심을 낮게 개발하여 불소농도가 먹는 물 수질기준에 초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