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맥이 짚신을 닮아서, 짚신 삶은 맛처럼 나물 맛이 없어서, 길섶에 많이 자라 짚신에 씨앗이 잘 붙는다고 해서. 짚신나물이라 한다든가. 어린잎이 용의 이를 닮아서 용아초(龍牙草). 학이 가져다준 명약이라서 선학초(仙鶴草). 약효가 뛰어난 식물인 짚신나물 꽃을 보며, 조상의 지혜를 생각한다. 비 온 날 짚신사고 마른 날 나막신 사는 삶의 지혜를 생각한다. 짚신장사와 나막신 장사 아들들을 둔 어미의 심정을 생각한다. 그리고 짚신을 머리에 이고 나선 조주선사를 생각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