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하 방폐장) 유치전이 경주, 포항, 군산, 영덕 등 4개 시·군으로 압축된 가운데 각 시·군은 주민투표의 찬성률 높이기에 주력하고 있다.<방폐장 관련기사 3면> 지난 31일 후보지 신청을 마감한 결과 전국에서 4개 시·군만 신청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가장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었던 울진과 삼척은 의회에서 방폐장 유치안이 부결됨에 따라 유치전에 뛰어들지 못했다. 이에 따라 경주지역의 유치운동은 더욱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경주시는 전 행정력을 동원, 직원 개개인이 담당구역을 정해 지역경제 회생과 51.6%에 달하는 고준위폐기물을 경주에서 몰아낼 수 있는 기회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주민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백상승 시장과 국책사업경주유치추진단은 각 계층별 지도인사들을 잇따라 만나 지지확보에 나서는 한편 읍면동별 홍보설명회를 하면서 찬성률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산자부의 지자체에 대한 주민투표 요구가 오는 15일로 임박해지자 방폐장 경주유치문제에 대한 지지선언과 반대활동 등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계를 대표하는 경주문화원과 경주예총이 지난 1일 기자회견을 갖고 방폐장 경주유치를 선언한데 이어 오는 7일 오후 5시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지지결의대회를 갖기로 했다. 국책사업유치단 관계자는 “이번 주부터는 지역 상공인들을 비롯한 전문직 인사들의 방폐장 지지 성명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돼 방폐장 찬성 바람이 거세게 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방폐장 경주유치를 반대하고 있는 지역 교육·문화·시민사회단체 인사들은 100인 선언을 통해 “경주는 유네스코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핵폐기물 영구처분장은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 반대단체들은 지난 30일 양남면 수렴리에서 일어난 주민설명회에서 발생한 찬성측이 반대측주민에게 가한 폭행사건에 대해 해장 면장 인사조치, 해당 이장 면직, 경주시의 재발방지 등을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