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에 이전 예정인 13개 공공기관과 경북도가 이전 입지선정을 둘러싸고 갈등을 계속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전 대상기관의 특성과 시너지효과를 위해서는 2~3개 권역별로 분산배치를 추진하고 있으나 이전할 공공기관들은 당초 정부의 방침대로 1개의 혁신도시로 동반이전 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집중배치를=지난 12일 도로공사 등 경북이전 13개 공공기관 부사장단은 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에서 긴급회의를 열어 당초 취지대로 1개의 혁신도시로 동반이전 돼야 하는 당위성을 재확인하고 공공기관을 2~3개 지역으로 분산배치하려는 경북도의 입장에 우려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13개 공공기관 노동조합도 최근 경북도의 주장을 반대하고 1개의 혁신도시로 동반이전 하는 것을 결의하고 공조하겠다는 입장이다.   ▶분산배치를=경북도는 정부의 혁신도시 건설을 통한 공공기관 일괄이전 방침을 사실상 거부하고 개별이전 허용을 요구하고 있다. 혁신도시 건설 자체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역의 특수성과 이전공공기관의 특성, 연계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개별 이전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주시는=공공기관유치위원회를 구성해 공공기관 이전유치에 나선 경주시는 혁신도시 건설 지역은 경주가 최적지임을 알리는 홍보와 함께 원전이 있는 지역 등을 내세워 이와 관련 있는 한국전력기술(주) 유치를 위해 뛰고 있다.   경주시의 혁신도시 조성지구는 고속철 개통에 따른 역세권 지역인 건천읍 화천리 일대로 편리한 교통망과 인구 3만 규모의 신도시 건설을 벌써부터 경주시가 준비해왔기 때문이다.   시는 이미 화천리 신경주 역사 136만여평 부지에 이미 혁신도시를 건설 중에 있으며 교육․문화시설은 물론 풍부한 녹지 공간과 함께 택지 확보가 용이하고 쾌적하고 편리한 최상의 주거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이전 기관에 대한 부지 원가 제공 및 각종 부지에 따른 편의제공, 국․공유지 무상임대, 사용료 감면, 집단화 단지 조성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경주시의 행보 또한 빨라지고 있다. 백상승 시장과 이종근 의장, 공공기관유치위는 지난 18일 용인시 한국전력기술(주)을 방문해 임성춘 사장을 직접 만나 면담하고 지역 여건과 관련이 많은 한국전력기술(주)는 반드시 경주로 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혁신도시 입지선정 평가는=지난달 27일 발표한 정부의 혁신도시 입지선정 평가기준은 △혁신거점 발전성(50점)-간선교통망 접근성(20점), 혁신거점으로써의 적합성(20점), 기존도시 인프라 및 생활편익시설 활용가능성(10점) △도시개발 적정성(25점)-도시개발의 용이성 및 경제성(15점), 환경친화적입지가능성(10점) △동반성장 가능성(25점)-지역내 균형발전(10점), 혁신도시 성과 공유방안(10점), 지자체의 지원(5점) 등 100점을 만점으로 평가한다.   입지선정에 가장 큰 비중은 발전 가능성이며 부동산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은 선정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이다. 이성주기자 <solmelee@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