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경주가 각종 집단시위로 몸살을 앓고 있다. 새로운 단골 집회장소로 자리잡은 경주시청 앞 도로 등 경주시청을 중심으로 동천동 일대는 소음과 교통체증으로 시민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다.   올해 들어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각종 집단시위 건수가 약 70여회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개월 동안 2~3일에 한 번씩은 집단시위가 있었다는 결론이다.   방폐장유치 반대, 골프장 건설반대, 종합쓰레기매립장 문제 등 보상 및 혐오시설과 관련한 주민들의 집단민원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경주지역의 집단시위 건수가 타 지역에 비해 많고, 예년에 비해서도 유난히 많은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방폐장문제와 같은 시민들의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새로운 지역현안문제의 등장도 한 원인이긴 하지만 원전특별지원금에 대한 집행을 계속 미뤄온 일이나 천군동 종합쓰레기매립장의 사용연한을 주민의사를 무시한 채 임의로 연장하는 등 경주시가 주민들의 집단시위를 자초한 측면도 없지 않다.   철저한 사전 계획과 소신을 바탕으로 전체주민들의 이익을 위해 투명하고 공평한 시정을 폈더라면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문제들도 결국은 집단시위라는 극단적인 상황까지 몰고 가는 꼴이 되고만 것이다.   물론 특정지역의 주민들이 공익보다는 자신들의 지역이익을 위해 집단시위라는 카드를 들고 나온 사례는 여론의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 이러한 사례에 대해서는 경주시도 결코 굴복해선 안 되며 공권력을 동원해서라도 공공의 이익을 수호해야한다.   그러나 그 먼저 집단민원에 대해서는 경주시가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 시위로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노력했어야 마땅하다.   역사문화도시 경주의 이미지가 외래관광객들에게 집단시위가 난무하고 치안이 걱정되는 불안한 도시로 인식되지나 않을까 걱정스럽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