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철 농기계 안전사고 빈발 3월말까지 87명 이송 경상북도소방본부는 지난 1년간 도내 119 구조구급대가 처리한 농기계 사고를 분석한 결과 전년도보다 6.7%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나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이하여 농민들의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상북도소방본부가 농촌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지난 1년간(2004년 4월~2005년 3월) 도내 119 구조구급대가 처리한 농기계 사고를 분석한 결과, 농기계 사고로 부상한 농민은 79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에 발생한 농기계 사고 부상자 742명에 비하여 6.7% 증가 한 수치이다. 또한 올해 들어서도 벌써 86건의 사고가 발생 87명을 병원으로 이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발생 증가 사유를 보면 각종 농기계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나 안전의식 고취가 미흡하고, 농촌지역 고령화 추세로 60세이상 남성의 사고 발생률이 344명(41.5%)에 달해 부주의와 조작미숙 등 대처능력 저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사고 내역별 분석을 보면 농기계 종류별 사고발생은 농촌에 가장 많이 보급된 경운기로 인한 사고가 631건(80.4%)으로 가장 많았고 트랙터 41건(5.2%)·예초기 23건(2.9%)·관리기15건(1.9%)순으로 발생했다. 사고유형별 현황으로는 교통사고가 151건(19.2%)으로 도로 주행시 차량과의 충돌 사고가 많아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높으며, 전복사고도 150건(19.1%)으로 좁은 농로길 운행시 주의가 요망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사고원인에 따른 현황은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410건(52.2%)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조작미숙 146건(18.6%)·음주조작 11건(1.4%) 순으로 나타났다. 농기계관련 사고는 농사의 시작인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6월(10.5%) 모내기철과 10월(12.6%) 추수철에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 되었으며, 8월9월에는 벌초 중 예초기의 사고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사용상 주의가 뒤따라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