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핵대책시민연대는 지난 4일 월성원자력본부 정문 앞에서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의 타당성과 고준위 핵폐기물 정책을 촉구하는 생존권 투쟁대회를 개최했다. 경주자율방범협의회, 지체장애인경주시지회, 서라벌청년회, 경주시청년연합회, 경주청년회의소 등 지역 청년사회단체 회원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투쟁대회에서 참가자들은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를 촉구하며 한전, 한수원 본사와 양성자 가속기는 당연히 경주에 와야 한다”며 “정부는 고준위 핵폐기물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하며 30만 경주시민은 생존권 쟁취를 위해 궐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영대 투쟁위원장은 “경주시의회 의원들이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를 위해 나선 것에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며 “능력있는 시의원들이 노무현 정부와 책상에 앉아 논의하면 경주에 유치될 것으로 보며 오늘을 계기로 우리(핵대책시민연대)는 시의원들에게 공을 넘겨주겠다”고 선언했다. 핵대책시민연대는 결의문을 통해 “정부가 중·저준위 방폐장유치지역에 3천억원+α라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며 자치단체끼리 싸움을 붙이면서 중·저준위보다 100억배 위험한 중수로가 있는 월성원전의 고준위 폐기물에 대한 대책은 전혀없다”며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와 양성자 가속기연구소, 한수원 한전 본사의 경주 이전과 기존의 고준위 핵폐기물 임시 저장고에 대한 안전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