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하 방폐장) 유치를 둘러싼 지역 내에 여론이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경주시의회가 전국 기초의회 중에는 처음으로 방폐장 유치운동에 찬성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경주시의회는 지난 28일 의원간담회를 개최해 집행부로부터 그 동안 방폐장 유치에 대한 상황 설명을 듣고 토론을 벌인 뒤 표결을 통해 시의회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표결에 앞서 김승환 의원(양남면)은 “월성 1, 2호기가 수명이 다되어 가는데 정부에서는 수명을 연장하려는 계획을 하고 있다”며 “만일 연장이 안 되면 8~9년이면 수명이 다하는데 그 때는 어떻게 할 것이며 중저준위 방폐장은 1차로 10만톤 저장규모라고 하는데 월성 1호기를 폐기하면 800만톤 가량 되는 핵폐기물이 있어 방폐장보다 다 큰 위험을 안게 되는 만큼 차라리 안전한 방폐장을 유치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창교 의원(양북면)은 “정부가 3천억원을 준다는 것은 피해가 있다는 이야기며 국내에서 20년동안 방폐장 설치를 추진했지만 실패했다”며 “활성단층문제, 추진지역 주민갈등 등은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고 지적하며 반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20명의 시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조광조 의원(감포읍)이 투표에 참석하지 않고 19명이 투표한 결과 방폐장 유치 찬성에 15표, 반대에 4표가 나와 결국 방폐장 유치에 시의회가 앞장서기로 했다. 이에 따라 시의회는 2일 임시회를 열어 방폐장 유치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시민홍보활동과 공청회를 통한 주민여론 수렴 등을 하기로 했다. 한편 핵대책시민연대는 시의회의 결정에 찬성하는 한편 경주환경련은 찬성 시의원에 대한 낙선운동과 방폐장유치 저지를 위한 (가칭)경주핵폐기물처분장반대범국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대응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