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를 원전공화국으로 만들 것인가
핵시대의 종말, 핵없는 아시아를 지향하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11개국의 아시아 지역 반핵단체 회원들이 제9회 반핵 아시아포럼을 우리나라에 개최하면서 13일 이들 단체가 경주를 방문해 경주(월성)원전 앞에서 지역주민들과 함께 원전 추가건설을 반대하는 궐기대회에 참여한 것은 의미가 깊다.
이들은 10일 서울행사를 시작으로 영광, 경주, 울산 등 원전이 있는 지역을 방문해 지역 주민들과 간담회를 갖고 반핵운동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으며 외로운 지역주민들의 투쟁에 힘을 실어 주었다.
이제 월성원전은 우리나라에서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아시아의 문제, 전세계의 문제인 것이다. 인도의 반핵운동가 상하미트라 다시이 가데카(53)씨는 "세계 문화유산도시인 경주에 원전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미래 경주의 큰 걱정으로 남는데 또 다시 추가 건설을 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을 지켜만 보고 있는 국민들이 많은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하고 있다. 외국인의 시각에서 이같은 지적은 우리가 스스로 원전에 대해 너무 관대하지는 않았는지 되짚어 볼 문제다.
그동안 경주(월성)원전의 잇따른 대형사고를 우리는 기억할 것이다. 지난 99년 10월에는 작업인부 22명이 방사능에 피폭되는 사고가 발생해 충격을 주었으며 기형가축, 기형고기 등의 잇따른 출현에 대한 원인 규명은 아직도 우리는 받아 들이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들어서는 경주원전 주변지역이 지진발생의 우려가 높은 활성단층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학계의 보고가 나오고 있어 경주원전의 안전성은 또 여론의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옛 문헌에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이 수십차례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특히 서기 100년과 779년, 1036년에는 진도 7.0 규모 이상의 강진이 발생했던 것으로 학계에서는 보고 있다. 진도 6.5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다는 현재 경주원전의 안전성이 심각히 의심스러운 대목이다.
이같이 역사적인 사실이나 현재의 상황을 놓고 보더라도 천년고도 경주에 원전이 더 이상 건설되지 않아야 한다는 사유는 자명하다. 그러나 정부는 국책사업이라는 미명아래 신라천년의 역사문화도시인 경주에는 월성1,2,3,4호기를 비롯해 그것도 모자라 또다시 신월성 1,2호기란 이름으로 2기의 원자로를 추가 건설하려고 하고 있다.
세계의 많은 원전 보유국들이 이미 그 해악을 알고 원자로를 점차 줄여가는 추세에도 이처럼 경주에는 하나둘씩 원전이 들어서 원전공화국으로 바뀌고 있는데에 대해 우리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
혹시 세계인들이 역사 문화도시 경주보다 핵발전소의 도시 경주라는 곳으로 더 많이 알고 있지는 않을까 우려된다. 조상들의 문화유산을 물려받은 경주를 핵발전소가 넘치는 도시로 만들어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는 없지 않은가? 지금이라도 30만 경주시민은 월성(경주)원전에 대해 바로 알고 대처하길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