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하게 개발되고 있는 경주보문단지 개발에 대해 시민단체가 나서 감시하자는 여론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경주YMCA·경주YWCA·경주환경련이 지난 19일 경주상회의소에서 개최한 ‘보문관광단지 난개발 실태와 환경권 확보방안을 위한 시민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관광개발공사가 보문단지를 관리·개발하면서 관광객과 시민들의 바람과는 달리 우후죽순처럼 건물이 들어서게 해 휴양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며 “보문관광단지의 난개발을 막고 제대로 관리되도록 경주지역 시민단체와 시민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제에 나선 최재영 교수(경주대 건설환경시스템 공학부)는 “보문단지는 90년 중반부터 녹지공간이 침해되는 개발이 이뤄져 왔으며 곳곳에 들어서 있는 건물들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해 마치 시장통 같이 지저분하고 정체불명의 건물들로 인해 보문단지를 찾은 관광객들의 조망권을 빼앗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시민토론회에는 당초 참석하기로 했던 경북관광개발공사측에서 돌연 참석하지 못한다는 통보가 와 개발공사측이 경주시민들의 의견을 무시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경주환경련 이재근 사무국장은 “처음 개발공사측에서 관계자가 출석해 현황설명을 하겠다고 해 초청장에 명단을 넣고 준비를 했는데 17일 갑자기 출석할 수 없다는 연락이 왔다”며 “개발공사가 떳떳하다면 직접 참여해 자신들의 입장을 밝히고 시민들의 여론을 청취하는 것이 올바른 자세인데 자신들을 몰아세울 것이라고 예상하여 참석하지 않는 것은 경주시민들과 함께 하지 않겠다는 행동”이라고 비난했다. 이날 토론회를 마친후 3개단체 관계자들은 보문단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민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해 서명운동이나 협의체 구성 등 구체적인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다음은 이날 시민토론회의 내용 요지 ▶최재영 교수(발제자)=경주보문관광단지는 1971년 8월 정부의 경주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한 후 1974년 4월부터 조성이 시작됐다. 그리고 경주관광개발공사는 75년 설립 후 99년 경북관광개발공사로 간판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난 90년대 중반부터 보문단지는 곳곳에 건물이 들어서면서 아름다운 풍광이 사라지고 있다. 단지 전체를 보면 관광단지로서의 수행은 가능한 것 같지만 그 속을 살펴보면 무분별하게 들어선 건물들로 인해 주위의 환경이 오염되고 관광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해 보문단지 전체의 이미지를 흐리게 하고 있다. 경주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국제 휴양지인 보문단지가 외국인들로부터 더 이상 인기를 끌지 못하고 방문객이 늘지 않는 것은 국내용으로 전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문단지는 관광객 형태변화에 따라 보문단지개발에 대한 전면적이 재검토가 이뤄져야 할 시점이다. 시대 변화에 따른 단지 전체의 효율적인 관리와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