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지난해 경주지역 어린이집은 111곳으로 2018년 157곳 대비 46곳이 감소했다. 어린이집이 감소하면서 영·유아수 역시 4360명으로 5년 새 무려 1576명이 감소했다.
반면 노인복지시설은 762곳으로 같은 기간 660곳 대비 102곳이 증가했다. 노인복지시설은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등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이들 노인시설은 고령화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만 증가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것이 문제다. 이 같은 수치는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보육통계와 노인복지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어린이집이 줄고 노인복지시설이 증가하는 현상은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다. 일개 지자체만의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폐원한 어린이집 종사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나서는 등 그 고충을 생각하면 결코 가볍게 볼일이 아니다.
또 부모가 선호하는 국·공립 어린이집이 있다지만 당장 동네 어린이집 폐업으로 자녀를 맡길 곳이 사라진 부모들의 고충을 흡수하기에는 부족하다. 특히 맞벌이 가정은 아침 시간 먼 곳에 있는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고 출근하는 불편도 감수해야 한다. 문제는 저출산·고령화의 여파로 노인시설과 어린이집의 증감 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속도도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저출산 정책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지만, 폐원하는 어린이집 시설의 속도는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인구 감소는 결국 우리 사회의 경제·교육·복지·의료·문화 등 전방위적인 분야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할 사람이 줄어들면서 국가 뿐만아니라 지역 경쟁력이 하락되고, 도시 위상마저 추락시킬 게 뻔하다.
무엇보다 지역 내 현황을 정확히 분석해 어린이집·유치원 수급 계획 및 정책을 개발하고 육아 인프라 취약지역에 대한 돌봄 교실 설치 등 지원 강화가 시급하다. 그동안의 실패한 정책들을 반면교사 삼아 경주지역 현실에 맞는 육아 정책을 수립하고, 기존 추진 중인 사업들은 재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정부에 앞서 재원 확충 등 경주만의 실질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말이다. 코앞에 닥친 인구소멸 문제야말로 열일 제쳐두고 해법을 모색해야 할 으뜸 과제다. 더 이상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