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립도서관에서는 이런 일을 합니다. -시민의 문화·정보·독서의 場, 향토의 역사·전통의 수집 및 보존- 경주시립도서관은 1953년 7월 경주 읍립도서관으로 출발, 지금까지 경주와 함께 발전해 왔다. 76년 현재 중앙분관으로 사용중인 건물을 신축, 발전의 전기를 이루었으며 89년 9월 황성공원 본관을 개관했다. 현재 시립도서관의 장서는 10만 5천권에 이르고 이동 도서관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천년고도 경주의 도서관으로서의 특색을 살리고 보다 전문화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신라 관련의 각종 자료를 수집, 정리한 신라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시립도서관은 이상린 관장이하 김정식 서무담당, 김봉윤 사서담당과 중앙분관 및 이동도서관에 16명의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담당 부서별 업무 내용은 ▶서무담당 부서=문서 및 직원복무 관리와 지출, 계약, 영선, 청사유지관리의 업무 등. ▶사서담당 부서=각종 자료의 보전 및 관리, 시민들을 상대로 한 자료 열람, 자료에 대한 통계유지, 자료 안내 및 독서 상담, 독서회 운영과 시민에게 필요한 정보의 제공 등 ▶중앙분관=시의 남부 권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에게 각종 자료 제공 서비스를 하고 있고 이동 도서관은 원거리 또는 시간의 제약으로 도서관이용에 불편이 있는 시민에게 직접 찾아가는 적극적 도서관 봉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시립도서관의 주요성과는 지난 한해 동안 도서관 이용자 수는 37만1천6백12명으로 하루 평균 1천2백30명이 도서관을 이용했다. 도서 대출은 18만4천7백32권으로 지난 98년 13만2천9백49권, 지난 99년에 17만8천9백43권에 이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도서구입은 9천2백만원의 예산으로 7천2백21권의 자료를 구입했다. 특히 신라관련 자료를 수집해 운영중인 신라 자료실에는 단행본 4천3백51권, 석·박사학위 논문 2천3종, 학술기사 1천1백15건, 영상자료 7백56종, 사진자료 및 기타자료 2백65점을 소장하고 있다. 또 관련분야를 연구하는 지역 역사학도들에게 지식의 보고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또한 그동안 수집한 신라관련자료의 목록집 5백부를 발간해 관련기관, 단체에 배포했다. 이밖에 원거리 및 시간의 제약으로 도서관 이용이 불편한 시민들에게 직접 찾아가 봉사하는 이동 도서관은 시내 8개 주거 밀집지역 및 자연부락을 1주일 간격으로 순회, 운행하고 있다. 이동 도서관은 지난해 3백40회를 운영, 8천12명의 시민들에게 1만4천5백37권을 대출했다. 또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길러주고 도서관 이용의 생활화를 유도하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 일일 독서교실은 그간 모두 11개교 2천40명의 어린이가 참여해 도서관 이용법과 대출증 발급, 이용예절 등을 배웠다. 그리고 어린이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독서를 권장하며 동심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어린이 구연동화 대회를 지난해 10월 4일 청소년 수련관에서 개최해 8개교 11명의 어린이들이 평소 갈고 닦은 기량을 선 보였다. 또한 전자 정보시대에 발맞춰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을 이용,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10대의 전용 컴퓨터를 통해 실시하고 있으며 도서관 소장자료 검색과 각종안내, BBS, E-mail, 연관 사이트의 링크 기능을 갖춘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해 지역주민은 물론 네티즌들이 편리하게 시립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주요업무는 기존의 낡고 협소한 이동도서관 차량을 5천2백만원의 예산을 투입, 냉난방 및 각종 편의시설이 완비된 최신형 차량으로 교체해 운영중이며 3천8백여권의 신간도서를 비치함으로써 시민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신장세를 꾸준히 이어나가 올해말에는 도서관 개관 이후 최초로 도서대출 실적 22만권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최신형 서버컴퓨터 도입으로 효율적인 도서관 전산망을 갖춘데다 앞으로 6천9백만원의 예산으로 5천여권의 전문, 교양, 아동자료를 구입해 비치할 계획이다. 또한 장애인의 편리한 도서관 이용을 위해 각종 편의 시설을 신설했고 특히 저시력인을 위해 최첨단 약시기를 비치하고 있다. 특히 최신형 모빌렉(이동식 서가)을 설치해 급증하는 장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