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지역 소비자 상담 건수는 총 1만5035건으로 전년 대비 1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별로는 포항시 2489건, 구미시 1983건, 경산시 1351건, 경주시 1160건 등의 순이었다. 경북도와 한국소비자원은 2023년 한 해 동안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경북도민의 소비자 상담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는 전국 단위 10개 민간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전국 단일망 상담 처리시스템이다. 상담 후 조치 내역은 환급 889건, 교환 108건, 수리·보수 261건, 계약이행 573건, 계약해제·해지 377건, 상담 정보제공 1만93건 등이다. 경북도민이 상담을 신청한 상위 5개 품목은 의류·섬유 376건, 이동전화서비스 369건, 유사 투자자문 258건, 세탁 서비스 244건, 기타 건강식품 242건 순으로 나타났다. 상담사유별로는 품질·A/S 불만이 27.5%, 계약해제·위약금 불만 25.1%, 계약불이행 16.1% 순으로 나타났다. 판매 방법별로는 일반판매가 7272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내 온라인거래 4299건, 전화권유판매 830건, 방문판매 590건, TV홈쇼핑 311건 등의 순으로 접수됐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상위 5개 품목은 남성용 내의류가 153.3% 증가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국외여행(148.1%), 피부과(100%), 결혼 준비 대행서비스(93.8%), 필라테스(85.4%) 순이었다. 한편 2022년 경북도민 소비자 상담 1위였던 ‘유사 투자자문’은 2023년 건수가 낮아지면서(758건→258건) 진정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현장 순회교육과 숏폼(short-form) 영상 제작으로 인한 정보제공 효과를 톡톡히 본 것으로 보인다. 나이를 확인할 수 있는 1만4192건 중 40대가 3603건으로 가장 많이 상담받았고, 다음으로 50대(3278건), 30대(3074건), 60대(2376건), 20대(1133건) 순으로 확인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10대 이하는 노트북컴퓨터(2건), 20대는 헬스장(46건), 30대는 의류·섬유(82건), 40대는 이동전화서비스(99건), 50대는 의류·섬유(92건), 60대는 기타 건강식품(77건), 70대 이상은 기타 건강식품(49건)이 각 연령별 상담 1위였다. 최영숙 경제산업국장은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관련 소비자 경제교육 및 정보제공으로 도민의 소비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행정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