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친묘 진입로 공사에 따른 특혜의혹으로 경주경실련 등 24개 경주지역 시민단체와 갈등을 빚고 있는 경주시의회가 22일 열린 간담회에서 박모의원과 도로개설은 무관하며 행정착오였다는 이장수의원의 한마디로 마치 특혜시비가 일단락 된 것으로 안도하고 있다.
여기다 한술더 떠 경주경실련 최규철 공동대표(전 동국대 부총장)가 사퇴하는 등 진상규명위원회가 내부갈등을 빚고 있다고 호도하고 있다.
하지만 우선 불법 공사를 강행한 시의원이 수혜자인 동료의원에 대해 일방적으로 관련이 없다고 두둔하며 행정착오로 빚어진 해프닝으로 몰아 이번 사태를 애써 피해가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그는 2천3백만원의 예산을 자신이 변제하겠다고 나서면서 이 해프닝을 끝내려고 안간힘을 쏟고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진상규명위측은 한마디로 `소가 웃을 일`이라며 분개하고 있다. 평소 사람이 다니지 않는 산속에 진입로도 없이 슬그머니 포장한 도로를 말썽이 일자 돈만 물어내면 그만이라는 식의 안이한 태도 때문이다.
이에따라 23일 진상규명위측 관계자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강력한 대응에 나설 태세를 갖추고 있다.
진상규명위측은 21일 감사원 감사를 청구한데다 앞으로 대검 인터넷 사이트에도 수사를 의뢰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또 시의회를 방문, 항의시위에 나선다는 계획도 준비하고 있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스스로 자숙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일부 시의원들에 대한 시민들과 시민단체의 분노가 이제는 극에 달한 느낌이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앞서 발표한 성명서에서도 밝혔듯이 이시장의 사과와 해당 의원들의 자진사퇴, 예산변제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잘라 말하고 있다.
이제 해당 시의원들 스스로가 시민들을 상대로 사과한 뒤 사퇴하는 것만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