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인 경주경실련 사무실이 불법 감청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예상된다. 24일 경주경실련의 한 관계자는 "최근들어 사무실내 두개의 전화기가 사용중 이상한 소리와 함께 누군가 도청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 장비를 가져와 점검한 결과 감청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시의원 선친묘 진입로 특혜의혹을 규명중인 시민 진상규명위가 있는 경실련 사무실이 불법 감청된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될 경우 엄청난 파문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여기다 23일 정보통신부가 한나라당 심재철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도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 4곳이 지난 98년 2월부터 99년 12월까지 모두 32차례에 걸쳐 수사기관으로부터 긴급 감청 확인서도 없이 감청집행을 협조했다가 적발된 사례가 알려진 상태다. 이 자료에서 수사기관이 사전 허가없이 긴급 감청을 하다 검사의 승인이나 법원의 허가를 받지 못해 중간에 중지당한 횟수도 97년 이후 작년까지 전체 긴급 감청 1천5백29건 가운데 60.7%인 9백28건으로 집계돼 국민들의 사생활 보호가 외면되고 있다는 여론이 잇따르고 있다. 경주경실련의 또다른 관계자는 "최근 회의용 자료를 보안에 부치고 있는데도 가끔 외부에서 앞서 회의내용을 알고 있었다"면서 도청 사례로 들었다. 경주경실련측은 이에따라 이번 사태를 예의 주시하고 각 시민단체와 중앙경실련에 이같은 사실을 통보하는 등 대응태세에 나설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