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돼지 콜레라, 닭 뉴캐슬병, 미국의 소 광우병 등으로 축산농가는 물론이요, 관련된 육류의 도.소판매업과 식당까지 전면적인 불경기가 걱정이다. 연말연시 백화점을 비롯한 크고 작은 판매업소의 매출감소는 물론이요, 위축된 육류소비가 전업종의 경기에 여양을 미치고, 이로인해 금융채무의 연채등 자칫 서민경제 전체를 뒤흔들 위기에 처해 있다. 물론 큰 대책이야 나라에서 세우겠지만, 우선 경주시가 서두를 것이 있다. 경주는 도내 축산규모가 1위임에도 불구하고 행정구조조정때 축수산과에 통합되었고, 축산직 공무원 또한 고작 8명으로, 관내의 6천47 농가에서 한우 4만3천마리와, 311농가의 젓소 1만5천마리848마리, 169농가에 돼지 16만2천여마리, 270농가에 닭,오리 2182천마리의 가축관리 행정업무를 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행정능력이다. 도내축산규모 1위에 축산보조 행정능력은 꼴찌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축산 전염병은 예방관리가 중요하고 관내든 관외든 이미 전염병이 발생하면 철저한 격리와 소독활동이 급선무이다. 이번 조류독감의 경우도 신속하고 철저한 예방소독 및 타지역으로부터의 반입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있었더라면 막을 수도 있었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든다. 차후에 이와 비슷한 파동이 다시 생기지 않는다고 누가 보장하겠는가? 차라리 다른 과 업무야 통폐합해도 업무의 조정이 가능하나 축산업무는 충분한 인력지원과 발로 뛰는 행정이 아니고는 안된다. 축산지원업무는 사무실에서가 아니고 현장에서 발로 뛰는 형장형 공무원의 절대적 확보가 시급하다. 따라서 축산과 분리독립과 축산직 공무원의 충원을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축산 농가가 많은 읍면에는 반드시 축산직 공무원이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축산직 공무원들에 대한 특혜가 아니라 전염병에 치명적인 축산업무의 특성에 따른 도내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축산농가에 대한 지원을 위한 필연적인 조치일 것이다. 축산과의 부활로 다시는 경주에 전염병 파동에 흔들리는 약한 축산행정의 모습을 보이지 말자! 최선을 다하고도 생기는 천재지변이야 어쩔수 없지만 축산인력의 보강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는데도 행정구조조정에 밀려 인력을 충분히 지원 못해서 생기는 피해는 천재가 아니라 인재인 것이다. 축산과 부활은 도내 축산규모 1위에 걸맞는 시대적 요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