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권에는 개에 대한 속담이 있다면 서양권에는 개에 대한 명언이 있다. 명언(名言)은 어떤 교훈이나 가르침을 주는 말을 하기 쉽게 간결하고 짧은 문장으로 표현한 것을 가리킨다. 서양에는 실제로 개에 관한 많은 명언들이 있다. 이는 개가 서양 문화에서 오랫동안 사랑받고 동반자로서 존중받아 온 결과이며, 개에 관한 명언들은 주로 개의 충성심, 헌신 등과 같은 가치를 강조하며, 사람과 개 사이의 독특한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개에 대한 명언들이 만들어진 배경은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개는 사람에게 충성과 사랑을 보여주는 동반자로서 오랫동안 함께 살아온 동물이다. 이러한 개는 사람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었고, 많은 작가, 시인, 철학자 등이 개에 관한 명언을 남겼다. 개는 우리에게 성실함과 헌신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기고 있다. 개의 충성심과 무조건적인 사랑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줄 수 있는 가치와 감동을 주는 이유로 많은 사람이 개에 관한 명언을 창작했다. 그리고 속담과 명언은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서로 비슷하지만, 명언은 여러 시대와 공간에서 유래된 것이 많으므로 시대상을 제대로 이해해야 그 의미를 깨달을 수 있고, 속담은 발화 주체부터 시대와 장소가 불명하다는 점이 다르다. 개와 사람 사이의 독특한 관계를 감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명언을 소개하고자 한다. “개는 자기 자신보다 당신을 더 사랑하는 지구상에서 유일한 존재입니다”-조쉬 빌링스, Josh Billings “만약 모두가 개처럼 무조건적으로 사랑하는 능력을 가졌다면 세상은 더 좋은 곳이 될 것입니다”-M.K. 클린턴, M.K. Clinton “당신의 얼굴을 핥는 저먼 셰퍼드만큼 세상에 정신과 의사는 없습니다”-벤 윌리엄스, Ben Williams “개는 우리의 삶 전부가 아니다. 그러나 개는 우리의 삶을 완전하게 만든다”-로저 카라스, Roger Caras, 미국작가 “개와 함께 살아보지 않은 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진힐 “삶을 말하지 못하는 생명체들에게도 소중한 것이다. 사람이 행복을 원하고 고통을 두려워하며 생명을 원하는 것처럼 그들 역시 그러하다”-달라이 라마, Dalai Lama “당신이 개에게 바보 같은 이야기를 한다면 그 개는 당신을 보며 이렇게 말할 것이다. “우와, 당신 말이 맞아요!”나라면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을 거예요”-데이브 베리, Dave Barry 컬럼니스트 “만약 천국에 개가 없다면 나는 천국에 가고 싶지 않다. 그들이 있는 곳으로 가고 싶다”-윌 로저스, Will Rogers, 영화배우 “순수한 사랑을 전하기에 충분할 만큼 진화한 유일한 동물은 개들과 아기들 뿐이다”-죠니 뎁, Johnny Depp, 영화배우 “나의 인생의 목표는 나의 개가 이미 생각하고 있는 나만큼 좋은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작가 미상 “민족의 위대함과 그 도덕적인 수준은 그 민족이 동물을 어떻게 대하느냐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마하트마 간디, Mahatma Gandhi “개는 절대로 나를 물지 않습니다. 사람이 물지...”-마릴린 몬로(Marilyn Monroe) “사람에 대해 더 알면 알수록 더 개를 사랑하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De Gaulle, 드골 프랑스 대통령 “개는 말을 합니다. 하지만 듣는 법을 아는 사람들에게만 말이죠”-오르한 파무크, Orhan Pamuk “반려견을 키우지 않는다면, 적어도 한 마리는 당신에게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당신의 삶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로저 카라스, Roger Caras, 미국작가 “사람 사이의 신뢰는 깨지기 쉽다. 그러나 충직한 개는 결코 우리를 무시하지 않는다”-콘라드 로렌츠, Konrad Lorenz, 동물학자 “개들은 우리에게 그들의 모든 것을 남김없이 주어 왔습니다. 우리는 그들 우주의 중심입니다. 우리는 그들의 사랑과 신념과 신뢰의 초점입니다. 그들은 먹다 남은 음식에 대한 보답으로 우리에게 봉사를 합니다. 그것은 의심할 여지도 없이 인간이 해온 최고의 거래입니다”-로저 카라스, Roger Caras “개들은 사랑에 대한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제프리 무사예프 매슨, Jeffrey Musayev Masson 개에 관한 서양 문화권의 명언과 동양 문화권의 속담에는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의 세상사를 신뢰하지 못하는 것을 마음 아픔으로 표현한 것이 많다. 명언은 인간의 욕심을 버리지 않는다면 인간사와 함께 영원할 것이다. 개의 인생은 짧지만, 인간사는 길게 이어지므로 미래에도 변하지 않을 것이다. 보고, 느끼고, 잊는 생활 과정에서 다가오는 세상사의 안타까움은 개를 키우는 데서 위안이 될 것이다. 최석규 경주개 동경이 혈통보존연구원장 경주신문 독자위원회 위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