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을 가로지르는 동해남부선 철도가 폐선되면서 부지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시민 단체가 폐철도 부지 활용 결정권은 주민이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 가운데 경주시는 부지 활용에 시민 의견을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 밝혔다.
‘주민이 만드는 경주 폐철도 부지조성 주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지난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100년 역사를 가진 동해남부선, 중앙선이 폐선되면서 폐철도 부지 활용에 시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황성~동천 구간의 폐철도 부지는 인구 밀접지역으로 주민 생활과 재산권 피해가 크기에 폐철도 부지 조성에 기대가 크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경주시가 폐철도 활용사업단을 구성해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주민 참여와 의견 수렴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시가 부지 매입과 조성 사업에 많은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철도로 인해 가장 큰 피해와 고통을 인내했던 주민 요구와 의사 반영이 제한적이며 형식적이다”면서 “충분한 의견수렴은 기본으로 폐철도 활용 방안에 주민이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황성동과 동천동 주민 및 상인이 대책위를 구성하고 직접 참여해 폐철도 활용사업의 방향을 정하고 결정권을 가질 수 있도록 설문조사 후 주민투표를 요구할 방침이라 밝혔다.
대책위 요구에 경주시는 시민 의견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 2020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동천~황성동을 이어지는 폐철도 구간에 공원과 휴식광장, 산책로, 운동시설, 주차장 등을 조성하는 도시 숲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현재 사유지 매입 보상 중이며 국·공유지 부지 매입과 동시에 본격적인 설계 등 용역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폐철도는 도시 숲 조성이라는 큰 틀 아래 진행되고 있으며 보상 절차가 마무리되면 세부적인 사항은 시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한편, 대책위는 폐철도 활용과 관련해 주민이 직접 만들고 운영하는 ‘광주 푸른길’ 사례와 ‘포항 그린웨이 철길숲’ 사례를 제시했다. 하지만 이들 사례는 도시 계획이 부족했거나 관 주도의 사례들이다.
광주 푸른길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경전선 철도의 부지로 도심 한가운데를 지나는 곳이었다.
광주시와 시민들의 요구를 청도청이 받아들여 지난 1998년 도심 철도를 외곽으로 이설하고 폐선됐다. 폐선 이후 철로는 활용 방안이 마련되지 못해 비어있는 땅은 5년간 쓰레기장으로 사용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시민들이 모여 푸른길 운동본부를 결성하고 주민 의견에 따라 10여 년의 시간에 걸쳐 공원으로 조성된 곳이다.
푸른길 공원 관계자는 “국비 등 재원 마련에 이유로 기간이 길어졌고 이에 따라 선형 공원의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아쉬움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시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온전히 시민을 위한 공원이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경주시는 폐철로 활용한 대한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예산 집행 중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폐철로는 주민 의견을 반영해 공원 조성으로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면서 “공원 설계와 편의시설 등 세부 사항은 주민 의견을 수렴해 반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