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두어 ‘개’의 의미는 욕설이나 ‘가짜다, 안 좋다, 2류이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개새끼, 개나발, 개수작, 개망나니, 개잡놈, 개차반, 개뼈다귀, 개나발, 개소리, 개자식, 개 같은 놈, 개지랄, 개놈, 개다리, 개똥철학, 개망신 등의 접두어 ‘개’는 욕설로 쓰인다.
‘개’가 왜 부정적이고 나쁜 뜻인 욕으로 쓰였는지에 대한 어원은 국문학적으로 잘 정립되어 있지 않다.
개(犬)새끼가 욕의 의미로 사용하는 예는 다른 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개는 사람과 유사한 사회적 동물이고, 종족 번식에 필요한 교배는 다른 동물과 비교하면 특이하다. 개의 교배를 수의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살펴보면 개는 사람보다 교미가 문란하다. 개는 6개월이 지나면 번식이 가능하며 한배에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는 다태동물(多胎動物)이다.
개는 임신이 가능한 교배 적기 동안 여러 마리의 수케와 교미가 가능하기 때문에 한배에 부견(수컷)이 다른 새끼의 출산이 가능하다. 암케는 교배를 위한 수케의 선택에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인위적으로 강제 합사하여도 암케가 허락하지 않으면 수캐의 승가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는 유전적으로 우수한 자견을 생산하려는 암케의 생리학적 지혜에서 비롯된 것이다. 발정 중인 암케는 우수한 유전형질을 가지는 새끼를 생산하기 위해 여러 마리의 수케와 교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족 번식의 습성 때문에 태어난 새끼의 부견이 누구인지는 친자감별을 할 수 없었던 옛날에는 알 수 없었다.
개의 교미 지속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에서 1시간이며, 사자와 호랑이는 교미시간이 20∼30초로 수십번을 하며, 사람 팔뚝만 한 크기의 성기를 가진 말은 10초를 간신히 넘기고, 소·토끼·닭은 1∼3초, 엄청난 암컷을 거느리는 물개는 5초, 코끼리 30초, 오랑우탄 15분, 곰 1∼3분으로 개의 교미 지속시간이 매우 길다.
개가 이처럼 교미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는 수캐가 독특한 음경 구조인 음경골과 발기 시 페니스 양쪽에 커다란 구슬 모양의 음경 근육이 발달해 있기 때문이고, 또 암캐의 질도 다른 동물보다 수축하는 힘이 강하며 수캐의 발기된 페니스가 수축하여야만 분리가 된다.
교배가 가능한 암케는 아비, 자매 등 근친 교미, 상간 교미를 하므로 사람의 윤리적 관념에서 보았을 땐 성관계가 문란한 패륜으로 태어난 결과물인 개의 새끼에 대한 비유가 욕이 되는 것이다.
수만 년 전부터 개는 가축으로 인간과 함께 생활해 왔기 때문에 사람의 삶과 자연스럽게 비교하여, 개의 교미를 폄하하여 어미 개의 새끼인 강아지를 ‘개새끼’로 표현하였고, 교미 습성이 비유되어 욕으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권에서 흔히 욕으로 사용되는 개에 관한 표현으로 Bitch는 암캐이며 속어로 개 같은 년, 발정난 암케로 여성을 비하하는 욕설이며, ‘Son of a bitch’(암캐의 자식)로 개와 같이 어미가 방탕하여 불륜으로 낳은 ‘가짜 자식’, 즉 ‘사생아’의 의미로 쓰이며,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을 욕할 때 많이 쓰인다. 즉 성적으로 문란한 여자가 낳은, 아버지가 불확실한 아이를 뜻한다.
‘Go to the dogs(몰락하다, 파멸하다, 타락하다, 실패하다)’, ‘Dog Day(무척 더운 날)’, ‘Dog eats dog(동족상잔)’ 등으로 나쁜 의미로 사용된다. 중국어권에서는 거우쯔(狗子)나 거우터우(狗頭)는 개새끼란 뜻이다. 거우차이(狗才·무능한 놈), 거우짜중(狗雜種·개잡종), 거우다이푸(狗大夫·돌팔이 의사)로 욕설로 사용하고 있다.
개새끼는 일반적인 강아지라는 뜻이 아니다. 개는 어미와 교미를 하기도 하는 ‘난교(亂交)의 짐승’으로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개새끼는 근친상간으로 낳은 자식이라는 의미다.
최석규 경주개 동경이 혈통보존연구원장
경주신문 독자위원회 위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