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경주지역 자살사망자는 80명으로 전년보다 14명(17.5%)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률도 32.0명으로 1년 전보다 5.7명(17.8%) 증가했다.
전국의 자살사망자는 1만2906명으로 전년보다 446명 감소(3.3%)했고,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률도 25.2명으로 0.8명(3.2%) 감소한 반면 경주지역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주지역 최근 5년간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률은 2018년 32.5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9년 27.9명, 2020년 27.7명, 2021년 26.3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가 지난해 급상승했다. 경북 평균은 26.8명으로 경주시가 5.2명 많았으며, 도내 23개 시·군 중에서는 상위 7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우리나라 자살률은 지난해 감소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다. 통계청에 따르면 자살 주된 요인 가운데 정신적 문제가 39.8%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생활 문제(24.2%), 육체적 질병 문제(1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주지역에서 자살사망자가 늘어났다는 것은 정신건강문제와 더불어 경제적인 문제가 더해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자살은 경제적으로 연간 수십조의 손실을 발생시킨다. 자살로 인한 우리나라의 사회적 비용은 암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여기에 자살자의 가족과 친구, 이웃은 표현하기 힘든 고통을 겪는데다 사회적 낙인까지 더해진다. 이는 경주지역 자살사망자가 늘어난 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대목이다.
경주시가 생명안전망을 강화하면서 시민의 정신건강 문제에 적극 대처해야 할 시점이다.
더 이상의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경주시는 다각도의 자살 예방사업을 추진하고 범사회적 예방 환경 조성에 나서주길 바란다. 그래야만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나아가서는 대한민국이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