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주지역 인구 자연감소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자연감소도 마찬가지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한해 경주지역 출생아수는 981명으로 역대 최저치로 1000명선도 무너졌다. 반면 지난해 지역 내 사망자수는 2713명으로 통계청에서 확인할 수 있는 1998년 집계 이래 최대치다.
사망자가 출생아수 보다 많은 자연감소는 1732명으로 이 또한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인구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감소는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매년 출생아 수는 줄고 사망자 수는 늘어 인구 자연감소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경주시의 인구 감소는 무엇보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심화와 관련이 깊다.
연간 출생아수는 지난 2003년 2681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1년 1961명으로 2000명 선이 무너졌다. 이후에도 매년 100여명 이상 감소해오다 지난해 1000명대 이하로 떨어졌다. 합계출산율 역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가임기간(15~49세)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다. 최근 5년간 경주지역 합계출산율은 2018년 1.036명, 2019년 0.942명, 2020년 0.971명, 2021년 0.951명, 2022년엔 0.893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저출산과 맞물린 고령화 역시 문제다. 노인 인구는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출산율이 받쳐주지 못한다면 초고령화 사회는 불가피하다.
이로 인해 인구문제에 대한 반전은 앞으로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 당장 기업을 유치하고 고용을 증가시킨다고 해서 풀릴 문제는 아니다. 경주시의 문제를 넘어 우리나라 전체 지역이 겪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앞서 10여년 전부터 정부나 각 지자체들이 급격한 인구감소로 인한 경제·사회적 문제가 대두되자 출산 장려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고도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현재 인구감소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실제로 인구감소와 저출산·고령화 사회는 경주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당면한 위기가 됐다. 인구문제는 수치로 보이는 것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 당장은 뚜렷한 피해가 없어 보여 심각성을 간과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는 순간이 와서야 인구문제 해결에 나서는 오류를 반복해 온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는 일회성·단편적 정책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미세한 정책까지 모두 동원해야 한다. 그리고 지자체들은 수치에만 매달리지 말고 현재의 인구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시급하다. 우선 일자리의 다양화와 삶의 질을 높이는 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부터라도 모두가 노력하지 않으면 암울한 미래를 맞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