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에 대한 일본의 일방적 표기인 ‘일본해’가 미국 국방부의 지도에 표시된 것에 대해 전국이 들끓고 있다. 야당을 비롯한 각 지자체들이 앞 다투어 규탄결의안이나 성명서를 발표하는 가운데 시민단체와 국민들 사이에서도 비분강개하는 목소리가 퍼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국방부와 여당에서는 이에 대해 일언반구 입장 표명이 없어 국민들의 울분을 더 키우고 있다. 오히려 국방부는 “미 국방부가 단일명칭 표기 원칙에 따라 동해가 일본해(Sea of japan)라는 미 정부의 입장을 원론적으로 밝힌 것이다”고 말한 후 “한미일이 동해에서 훈련시 훈련해역에 대한 표기를 ‘일본해’로 할 것이라는 답변은 아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는 엉뚱한 괘변을 늘어놓아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최근 정부는 일본과 미국의 공조가 대한민국의 살길이라는 명분 아래 중국과 러시아에 대해 노골적인 단절을 지속함으로써 외교가에서는 금기시되는 일방외교를 펴왔다. 그 구체적 방안으로 일본의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를 묵인했고 유사시 한일, 한미일의 단결을 통해 한반도 위험을 해소하겠다는 전략을 국민들에게 설파해 왔다. 최근 육군사관학교에 설치된 독립운동가들의 흉상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이나 광화문 광장에서 이순신 장군의 동상을 제거하려는 움직임도 일본에 어필하려는 촌극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그런 노력의 결과가 한미일 공조에서 한국이 배제되고 미일 공조로만 치우쳐 ‘일본해’ 표기로 돌아온 꼴이다. 그러나 아무리 정책이 비뚤어져도 국민들은 살아 있다. 일본해 표기에 대해 동해로 고쳐야 한다는 운동이 뜨겁게 퍼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 18일 김현필 씨가 구글 지도상에서 우리 동해를 동해로 표시하는 운동을 공유하며 “우리 바다를 동해라 표현하는 것은 21세기 대한의 독립군”이라 강조했다. 역사적으로 보면 나라나 정부가 하지 못하는 일을 국민이 해결해온 것이 다반사다. 임진왜란 시 왜군에 맞선 의병들이 그랬고 일제강점기 국내와 해외에서 일본에 맞선 독립운동가들이 그랬다. 그때나 지금이나 정부는 먼 산만 바라보고 있어서는 안될 일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