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인구 유입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귀농·귀촌 정책을 적극적이고 다양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재필 경주시의회 의원은 지난 2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적극적인 귀농·귀촌 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주시 사례와 농림축산식품부 귀농·귀촌 인구 변화 자료를 근거로 경주시의 발 빠른 대처를 주문했다.
농림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국 귀농·귀촌 인구는 51만5000명으로 전년도 대비 4.2%가 증가했으며, 이는 2년 연속 증가한 수치다.
상주시의 경우 지난해 경북도내에서 귀농·귀촌 1위를 차지할 만큼 적극적인 귀농·귀촌 정책을 펼치고 있다.
상주시는 서울시 자치구를 비롯해 18개 도시와 협약을 맺고 324만명을 대상으로 꾸준한 홍보를 펼치고 있는 반면, 경주시는 3개 시·군 71만9000명에 그치고 있다.
경주시가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고 대도시와 관계를 맺어 잠재적 귀농·귀촌인들이 경주를 대상지로 고려하게 만들자는 것이 최 의원의 주장이다.
경주시의 근접 도시인 대구·울산·포항을 비롯해 부산과 경남 등 1시간대에 이동 가능한 도시를 대상으로 홍보와 협약을 진행한다면 1000만명에 근접하는 사람이 잠재적 귀농·귀촌 대상자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물론 경주시가 원하는 모든 지역에서 홍보를 진행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경주의 여러 장점을 부각시키고 적극적으로 귀농·귀촌 적합지임을 홍보한다면 지금보다 귀농·귀촌을 위한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경주시는 귀농·귀촌 인구 유입을 위해 경주시귀농협의회 구성, 신농업혁신타운 내 체류시설인 ‘웰컴팜하우스’ 조성 등 다양한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결국 경주시의 적극적인 홍보로 인구유입을 현실화 시킬 때 여러 정책들이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다.
귀농·귀촌 인구유입이 인구감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매년 감소하는 경주시 인구에 반등을 꾀할 수 있는 만큼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