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에게 있어 취업은 인생 최대 과제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키우는 미래의 삶이 걸려 있는 것이 취업이기 때문이다. 경주시와 지방 공기업인 경북문화관광공사가 청년들을 위한 각각의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다. 경주시가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는 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과 경북문화관광공사의 ‘경북 산·학 연계 청년 인턴 지원사업’이다. 경주시는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이나 치매 가족을 돌보느라 진학과 취업 등이 어려운 청년들을 지원한다. 또 공사가 추진하는 사업은 기업과 청년으로 나눠 모집한다. 경주시의 사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돌봄청년들에게 경제적 지원과 함께 취업으로 이어지게 하는 등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 공사의 지원 사업 역시 청년취업을 위한 것으로 청년정책에 부합한 사업으로 여겨진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들 사업 외에도 다양한 청년정책을 시행해오고 있다. 청년센터 운영, 주력산업분야 청년일자리 지원, 청년창업 지원, 꿈이음 청춘카페 등 모두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다. 이들 사업 대부분은 청년취업 및 창업과 관련한 것으로, 과거 일회성 현금지원과는 달라진 점이다. 하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에는 이른 면이 없지 않다. 지방에서 청년들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취·창업이 활성화돼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경주시 주민등록인구가 지난해 10월 25만명선이 무너졌고, 특히 20~29세 청년 유출은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청년층 유출의 주요 원인은 일자리였다. 먹고 살만한 터전이 마련되지 않으니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것이다. 근본적인 문제점을 따져보면 수도권 집중화와 비대화에 있다.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대다수 부문의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지역소멸론이 대두되는 것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청년들의 수도권 유출은 취업 환경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길밖에 없다. 경북도, 경주시 등 지자체 차원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는 한계가 있다. 이제 정부가 팔을 걷어 붙여야 한다.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우량기업이 이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문화, 예술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인프라 구축도 서둘러야 한다. 이 같은 점들을 정부·지자체의 청년정책 관계자들이 깊게 고민할 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