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우리글 배우는 것이 소원이니더. 글을 몰라 난처한 적이 더러더러 있었니더. 행복선생님이 오기 전에는 이런 기쁨을 몰랐고 부녀회장도 찾아가고 마을 이장에게 묻기도 많이 했니더” 경로당 성인문해교실에서 늦깎이 공부를 하고 있는 서모 어르신은 ‘행복선생이 최고’라며 엄지를 세웠다. 대한노인회 경주시지회가 행복선생을 통해 지난 3월 20일부터 경로당 성인문해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26개 경로당에서 93명 어르신에게 한글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문해(한글)교실은 소망의 나무 1단계를 활용해 보고, 읽고, 쓰고, 대화를 나누며 진행한다. 소망의 나무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성인문해교과서를 무상 지원 받아 운영하고 있다. 1단계 소망의 나무(초등1~2학년 수준)는 총 5권(교과서 4권, 워크북 1권)으로 구성돼 보다 쉽게 배움의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존 한글교육이 글자를 익히는 방식으로 낱말을 많이 배워도 돌아서면 잊어버렸다면, 현재는 행복선생과 어르신들의 일대일 맞춤식 수업으로 학습 성취도가 높다는 것이다. 서모 어르신은 지난 3월부터 매주 금요일 한 시간씩 문해수업을 받으며 한글을 하나하나씩 익혀가며 남다른 재미에 빠졌다. 서 어르신은 “배우는 것이 흉이 됐던 여자들, 오빠와 남동생 출세의 길을 열어주는 일이 좋은 것으로 인정됐던 시절 배우지 못해 한글이 무척 어렵지만 행복선생님이 가르쳐 주니 맘 놓고 따라가지요”라며 “노래도 부르고 식구들에게 편지도 쓰고, 시도 쓰고 싶고, 힘이 닿는 날까지 오래오래 공부할 계획입니다”며 즐거워했다. 최정애 성인문해교육 행복선생은 “소망의 나무 책으로 그림을 보고 글자를 익히니 어르신들의 이해도가 높다”면서 “대부분 어르신들이 조금 더 일찍 한글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더라면 하며 아쉬워한다. 앞으로 더 열정을 갖고 교육에 임할 각오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