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 선정을 앞두고 지자체들 간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2025년 11월 개최 예정인 APEC 정상회의는 개최 국가가 우리나라로 선정됐지만, 개최 도시는 오는 연말경 결정될 전망이다.
현재 인천, 부산, 제주 등 광역단체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유일한 기초자치단체인 경주시가 가장 한국적인 도시를 내세우며 당당하게 출사표를 던졌다.
경주시는 지난달 30일 ‘2025 APEC 정상회의 경주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본격 유치 활동에 들어갔다. 출범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낙영 시장을 비롯해 박몽룡 추진위원장, 각계 시민대표 및 시민 등 700여명이 참석해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를 위한 결의를 다졌다.
앞서 이철우 도지사와 주낙영 시장, 김석기 국회의원은 지난달 27일 한덕수 국무총리와 면담을 갖고 경주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지원을 요청했다. 또 주낙영 시장은 지난 4일 용산 대통령실을 찾아 이진복 정무수석 등을 만나 2025 APEC 정상회의가 경주에서 열릴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적극 건의했다.
경주는 전통문화, 경제 발전을 함께 보여줄 수 있는 APEC 정상회의 개최 최적지다. 석굴암, 불국사 등을 품었고 도시 자체가 세계문화유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통문화유산의 보고(寶庫)’로 경주만이 보유하고 있는 장점은 유치 경쟁도시와는 차별성을 지닌 강점이다. 경주는 또 2012년 APEC 교육장관회의, 2015년 세계물포럼 등 국제 행사를 개최한 경험도 풍부하다. 특히 새 정부 국정과제인 ‘지방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균형발전이 필수인 만큼 경주유치의 명분과 당위성은 한층 높다고 하겠다.
하지만 유치 경쟁 지자체들도 만만치 않다. 인천은 5월 아시아개발은행 연차 총회, 9월 아시아 도시포럼 등을 통해 정상회의 유치에 우위를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또 지난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 부산은 경험론을 내세우고 있다. 제주는 이미 지난 2020년 유치추진준비단을 구성해 활동하는 등 유치 경쟁에 가장 먼저 뛰어들었다.
지금부터는 경주시가 타 지자체보다 특별하고 차별되는 논리를 개발해 유치 당위성을 적극 홍보하고 설득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특히 ‘2025 APEC 정상회의 경주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가 출범한 만큼 경주시민과 경북도민을 한마음으로 묶어 역량을 결집시켜 나가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