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미래전략 2030’(이하 세계유산 미래전략) 비전 선포식이 지난 28일 경북도청에서 열렸다. 경북도는 이날 ‘세계유산 미래전략’ 추진계획 발표와 함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세계유산 관련 17명의 전문가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촉장을 전달했다. 또 도지사를 비롯한 도내 세계유산 보유 시장·군수들이 세계유산 보존·활용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함께한다는 의미의 협약식도 가졌다. 경북도는 지난 1월 도청 문화유산과에 세계유산 전담팀을 신설하고, 10년 단위의 세계유산 장기마스터플랜을 수립했다. ‘세계 속의 K-Heritage 육성’을 비전 목표로 설정하고, 세계유산 디지털 대전환으로 지역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성장 동력을 발굴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세계유산 미래전략 주요 7대 핵심과제를 수립했다. △세계유산 외연확장 △국립세계문화유산센터 유치 △천년 신라왕경 디지털(메타버스) 복원 △천년 유교경전각 건립 △지역 맞춤형 관광자원화 △문화유산 생태계 혁신 △디지털(메타버스) 산업클러스터 조성이다. 도는 7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경북의 탁월한 세계유산을 앞세워 미래경북의 문화관광 생태계를 혁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는 9월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를 마무리하고, 후속으로 세계유산(태실, 누정), 기록유산(만인소, 편액), 무형유산(한지·전통 활문화) 등 신규 유산을 발굴해 경북을 세계유산 중심지로 우뚝 세운다는 방침이다. 또 ‘국립 세계문화유산센터’와 ‘천년 유교경전각’ 등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첨단시설을 도내에 유치·건립해 세계유산 보존·관리·활용 미래모델을 선도할 계획이다. 신라왕경 복원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디지털(메타버스) 기술을 적용하고, 신라왕경 역사가로길, 하회권 퀸스로드, 서원·산사 명품 순례길 등 경북만의 차별화된 맞춤형 관광코스도 조성할 방침이다. 또 ‘세계역사도시진흥원’ 유치·건립,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전통기록물 번역·활용, 천년건축물 건립, 풍부한 문화콘텐츠를 산업과 연계한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전문 인력 양성, 기업 육성,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 문화관광 생태계 조성으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목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1세기는 문화가 자산이 되고 일자리가 되는 시대”라며 “경북은 세계유산의 보고(寶庫)인 만큼 전통 문화자원을 보존·전승하고 미래먹거리로 적극 활용·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비전선포식에는 이철우 도지사를 비롯해 이경훈 문화재청 차장, 도내 세계유산을 보유한 자치단체장(주낙영 경주시장, 권기창 안동시장, 송호준 영주부시장, 김학동 예천군수) 및 세계유산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위원들이 참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