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류공단 내 의료 폐기물 소각 업체가 공장 증설을 추진하자 주민들이 증설에 반대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안강읍 주민 30여명은 지난 23일 대구지방 환경청에서 의료폐기물 소각로 증설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에코비트에너지경주의 증설 계획을 당장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이 대구 환경청에서 기자회견을 연 것은 증설 허가권이 대구지방 환경청에 있기 때문이다. 의료 폐기물 소각로 증설을 추진 중인 에코비트에너지경주는 태영그룹 계열사로 옛 이에스지경주와 정세환경기술 등을 인수해 사명을 변경한 업체다. 현재 에코비트에너지경주는 개별 사업장으로 전국 최대의 의료 폐기물 소각업체로 하루 소각 허가 기준은 96톤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에코비트에너지는 경주 외에도 전국의 의료폐기물 소각 업체를 다수 소유해 전국 의료 폐기물 소각량의 37%를 차지하고 있다. 안강읍 주민들은 소각장이 증설되면 에코비트 에너지가 전국 의료 폐기물 소각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게 된다며 이는 독과점으로 인한 폐단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에코비트경주의 하루 소각 기준은 96톤이지만 실제 소각 가능 용량은 하루 124톤에 이른다”면서 “이는 1톤 트럭 120여대 분량으로 전국의 의료 폐기물이 120여대의 트럭에 실려 두류 공단에서 소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추진 중인 증설이 이뤄지면 하루 허가 용량이 120톤으로 늘어나고 실제 가능 소각량은 150톤까지 늘어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현재 두류공업 지역이 이미 악취 관리 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악취와 환경권에 대한 우려가 극에 달한 곳이라며 더 이상의 증설이나 신설은 지역을 회복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만들 것이라 주장했다. 집회에 참석한 경주시의원도 의료폐기물 소각시설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시설이라며 증설 반대에 힘을 보탰다. 이강희 경주시의원은 “대형 병원 등에서 자체 멸균 분쇄 시설을 도입해 전국적으로 의료폐기물 자체 소각에 나서고 있다”면서 “주민 생존권이 걸린 소각장 증설을 국가가 나서서 허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안강지역 인구 감소는 지역 평균의 두 배로 높은 상황에서 지역민이 반대하는 폐기물 소각시설이 증설된다면 인구 감소는 더욱 가속될 것이다”며 “증설 허가는 대구지방 환경청이 안강지역을 살리려는 주민들의 염원을 막고 지역민을 희생하려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의료폐기물 소각장 증설 허가를 담당하는 대구지방 환경청은 주민 반대에도 증설을 추진하는 분위기다. 환경청 담당자는 “에코비트에너지경주가 해당 부서에 환경평가서를 제출했지만 최종 증설 신청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로 허가 여부는 알 수 없다”면서 “갈등조정협의회 위원들이 소각로 증설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지 않는다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한편 경주시는 에코비트에너지경주의 소각로 증설에 부정적 입장을 대구지방환경청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