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ESG 경영환경 구축을 위한 선제적인 대비와 지원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소현 의원은 지난 24일 열린 제274회 경주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경주의 미래세대를 위한 ESG경영환경 구축과 지자체의 지원책 및 역할’을 주제로 5분 발언했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다. 김 의원은 “현재 국내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월 기업의 ESG공시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기업,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 기업에 대한 ESG공시를 의무화했다”며 “삼성, SK, 포스코, 현대 등 국내 대기업들도 ESG경영 도입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펼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로 비춰봤을 때 경주시의 시책과 예산 편성에 ESG가치를 반영하는 방향성, 경주지역 기업들의 ESG대응 수준 점검 등 미래에 대한 대비가 시작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경주시는 미래자동차 산업 육성과 국가 원전산업 등 과학혁신도시로 야심찬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ESG경영을 위한 일원화된 정보제공 채널이 없고, 요구되는 평가지표도 제각각으로 중소기업의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주시도 선제적으로 ESG경영을 도입하고 실천한다면 세계적인 기업의 투자유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경주시 차원의 ESG경영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방안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먼저 ESG기업유치 및 지원평가 등을 위한 ‘ESG위원회’를 설치해 공신력 있는 ESG평가기준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또 중소기업의 현실적인 경영 상황을 고려해 까다로운 규율보다는 지원에 초점을 두고, 각 기업의 업종별, 분야별 현황에 맞는 지원책을 도입·시행할 것을 제시했다. 시청 및 시청 보조금 지원을 받는 단체에 ESG를 실천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어 지속가능한 경주시를 위해 ESG경영을 선언하며, 이를 지지하는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와 협력하고 ESG 실천 기업 및 단체가 증가할 수 있도록 교육과 토론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현 의원은 “경주비전 2040 경주미래종합발전계획에서 제시한 ‘안심청정 녹색도시조성을 위한 프로젝트’와 ‘녹색가치 보존도시’라는 슬로건처럼 환경, 사회적가치, 지배구조를 중시하는 ESG행정으로 정책 목표를 추진하길 당부한다”며 5분 발언을 마무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