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소형모듈형원자로(SMR) 국가산업단지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5일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15개 국가산단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이중 경주시가 ‘SMR국가산단’ 조성 부지로 이름을 올리면서 그동안 계획해오던 원자력산업 중심의 특화 국가산단 조성이 가능하게 됐다. ‘SMR국가산단’은 사업비 3966억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경주시 문무대왕면 일원에 150만㎡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SMR국가산단은 국내 소형모듈원전 연구개발의 전초기지로 2025년 준공 예정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연계해 전 세계 SMR 시장 공략에 나설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다. 특히 경주지역으로서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사업이기도 하다. 경주시가 연구용역을 통한 분석 자료에 따르면, SMR국가산단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73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3410억원, 취업유발효과 5399명에 달한다. 이 산단이 본격 가동되면 생산유발효과 6조7357억원, 취업유발효과 2만 2779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입주수요 확보를 위한 조사에서 대기업을 포함한 225개 기업에 275만㎡의 입주수요 면적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SMR 관련 기업들이 국가산단 조성에 따라 경주로 입주한다는 의향을 밝힌 것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용역결과보다 더욱 커질 수도 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경주에 제조업 분야 국가산단이 들어오는 것은 ‘SMR국가산단’이 처음이다. 현재 국가산단은 전국 47곳이며, 경북에는 구미 6곳, 포항 2곳, 경주 1곳(월성원전) 등 9곳인 점을 감안하면 이번 선정의 의미가 크다. 경주시는 국토부가 지난해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계획을 발표하자 10월 제안서를 제출하고 현장점검, 전문가 종합평가, 산업입지 정책심의위 심의 등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거쳐 최종 선정됐다. 그동안 국가산단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기까지 행정력을 집중해 온 결과다. 앞으로 환경영향평가, 예비타당성조사, 관계부처 협의 등 국가산단 지정까지 행정절차를 남겨두고 있다고 한다. 이제부터는 경주 미래 100년을 견인할 성장 동력으로 꽃 피울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주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