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지난 8일 종합석재 창조사 대표 윤만걸(68) 석장에게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서를 전달했다. <사진> 이날 월성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찾아가는 시민간담회’에서 주낙영 시장은 윤 석장에게 직접 인정서를 전했다. 앞서 경북도는 지난달 14일 윤만걸 석장을 무형문화재 제49호 ‘경주 석장’으로 지정·고시했다. 1995년 경북 최초로 대한민국 석공예 명장으로 선정된 윤 석장은 석재를 쌓아올리는 ‘드잡이’ 기술보유자로 잘 알려져 있다. 윤 석장은 16세였던 1969년부터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석재사’에서 석공을 시작으로 54년 간 석장의 길을 걸어왔다. 윤 석장은 1987년부터 월성해자 및 석교복원 사업 참여 시작으로 △보물 경주남산 천룡사지 삼층석탑 복원 △국보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정비 △보물 표충사 삼층 석탑 해체보수 등 수많은 지역 문화재 보수·복원공사에 참여한 경력을 갖고 있다. 또 2001년부터는 보물 용장사지 삼층석탑 등 경주 남산에 흩어져 있던 폐탑과 석불을 전통 드잡이기술인 한식진폴을 이용해 지역 석조문화재를 복원하기에 이른다. 현재 윤 석장은 석조문화재 석공기술 전승을 위해 체계적인 기술관리와 기법을 두 아들에게 전수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윤만걸 석장은 “한식진폴을 가지고 석조구조물을 쌓아올리는 드잡이기술은 크레인이 일반적인 지금은 잊혀져가는 기술이다”면서 “아직 문화재 보존 및 수리에는 꼭 필요한 기술이기에 이에 대한 전승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낙영 시장은 “윤만걸 석장의 석조문화재분야의 전통문화재 복원을 위한 노력에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