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는 수요 공급의 자유로운 경쟁이 보장되는 경제체제이다. 그리고 상품의 자유로운 경쟁과 거래가 보장되는 곳이 시장이다.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이 따른다. 자유시장경제에서는 모든 생산자가 자유롭게 소비자를 만나도록 보장이 되어야 한다. 작금에 각 지방 중소도시마다 재래식 시장 주변에는 노점상과 단속 공무원간에 ?고 쫓기는 숨바꼭질이 일상사가 되어 버렸다. 사실 60년대 형성된 경주의 재래시장은 지난 30 여 년간의 눈부신 도시발전에는 아랑곳 하지 않고 옛 모습이 크게 변하지도 않았고 면적도 그대로다. 경주시 재래시장뿐 아니라 구시가지의 소방도로도 큰 변화가 없다. 가구당 1대를 넘는 차량 홍수시대에 소방도로는 물론이요 재래시장도 변해야 한다. 최소한의 주차장이 확보되어야 생산자나 소비자도 마음 놓고 편안한 거래를 할 수가 있다. 시에서 공간을 마련해주면 정상적인 상인이 되지만 공간이 모자라 도로변에 보따리를 풀면 불법노점상이 되버린다. 물론 법대로의 단속도 이해는 간다. 하지만 늘어나는 수요에 걸맞는 건전한 농산물이나 생필품 거래를 위한 최소한의 공간 확충은 경주시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의무가 아닌가 싶다. 노점상 단속이나 불법주차 단속을 냉정하게 살펴보면 일차적으로는 노점상인과 주차차주에게 책임이 있다. 그러나 늘어나는 수요에 턱없이 부족한 공간을 고집하며 시설현대화와 자유로운 상거래장과 주차공간을 확보해주지 못한 시당국의 행정 책임도 전혀 없다고는 할 수가 없다. 비좁은 재래시장을 계속 방치하는 한 상품을 놓을 공간을 찾지 못한 서민들은 어쩔 수 없이 불법노점상이 될 수 밖에 없다. 쥐도 도망갈 구멍을 보고 ?으라고 했다. 시간이 지나면 상품가치가 급격히 떨어지는 농산물을 보따리에 들고 온 시골 아주머니들이 불법 노점상 단속에 이리?기고 저리 ?기는 모습을 한번 상상해보라. 영세노점상인들을 위해서라도 합법적인 상거래 공간을 더욱 많이 확보해주어야 하는 것이 행정당국의 책무라고 생각한다. 단속만이 능사는 아니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불법노점상이 합법노점상으로 떳떳하게 자유상거래를 할 수 이도록 근본적인 재래시장 현대화와 시설확충이 시급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