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 ‘차세대 원전’으로 떠오르는 소형모듈형원자로(SMR)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된다. 경주시가 정부 신규 국가산단 공모에서 ‘SMR국가산단’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것.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5일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고 범정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15개 국가산단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경주시가 ‘SMR국가산단’ 조성 부지로 이름을 올리면서, 원자력산업을 중심으로 특화 국가산단을 만들겠다는 경주시의 구상이 적중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전 세계 원전시장을 공략할 150만㎡ 규모의 국가산업단지가 경주시 문무대왕면 일원에 들어서게 된다. 사업비는 3966억원이 투입된다. 경주시에 제조업 분야 국가산단이 들어오는 것은 최초다. 현재 국가산단은 전국 47곳이며, 경북에는 구미 6곳, 포항 2곳, 경주 1곳(월성원전) 등 9곳이다. SMR국가산단 조성사업은 국내 소형모듈원전 연구개발의 전초기지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연계한 특화사업이다.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민선8기 경주시의 핵심 전략사업이기도 하다. 경주시가 최근 연구용역을 통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SMR국가산단을 통해 유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73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3410억원, 취업유발효과 5399명에 달한다. 산단조성 후 본격 가동하게 되면 생산유발효과 6조7357억원, 취업유발효과 2만 2779명에 이를 전망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새정부 출범과 함께 국토균형발전과 차별화된 강소도시 육성을 위해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경주시는 지난해 10월 제안서를 제출하고 현장점검, 전문가 종합평가, 산업입지 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등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경주시는 국가 전략산업으로서의 정책적 타당성과 풍부한 입주수요 등의 조건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신규 국가산단 평가과정에서 가장 큰 관건으로 알려진 입주수요 확보를 위해 전국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홍보에 나서 대기업을 포함한 225개 기업에 275만㎡의 입주수요 면적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또 경주시는 지난해 9월 한국원자력연구원, 한화파워시스템, 현대엔지니어링과 차세대 발전시스템으로 소형모듈원자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기술개발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지난달에는 ‘원자력 추진 선박·해양시스템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업무협약 체결 등 SMR국가산단 유치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왔다. 이번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에 이어 향후 환경영향평가, 예비타당성조사, 관계부처 협의 등 산단 지정까지 행정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경주시는 SMR국가산단이 경주의 미래 100년을 견인할 성장 동력인 만큼, 최종 지정까지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주낙영 시장은 “SMR 국가산업단지가 후보지로 선정되기까지 도움을 주신 경주시민께 감사드린다”며 “SMR국가산단이 경주는 물론 경북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세계 최고의 산업단지가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