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최대 민원 중 하나로 떠오른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악취관제센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이강희 의원은 지난달 24일 열린 제273회 경주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 같이 제안했다.
이 의원은 먼저 “주민 생활과 직결돼있는 악취 관련 생활민원을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악취배출원에 따라 각각 다른 소관부서에서 담당하고 있는 여러 환경법을 검토해야 한다”며 “이로 인해 민원의 효율적인 대응이 어렵고, 민원의 취합 역시 각각 다르게 관리해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경주시도 악취 민원에 대해 명확한 관리체계가 없어 악취 배출량 자료가 부족하다”면서 “또 인력의 부재와 부족한 시설·장비로 적재적소에 투입돼 관리·감독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주시가 소규모 산업단지를 인근 지역별로 그룹화 해 환경감시를 체계화하고,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악취관제센터를 설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의원은 부산시 기장군과 사하구, 경남 양산시 통합관제센터의 사례도 들었다. 이들 센터는 4~50대의 측정 장비와 전담 인력과 최신 장비를 배치해 연중 운영함으로써 생활환경 민원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악취 민원 건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는 것.
또 이 의원은 “새로운 측정기기 도입으로 악취관제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민원 다발 사업장을 수시 감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악취배출업체가 사회적인 부담을 느끼고 자발적으로 악취 배출을 줄이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안강은 두류공업지역 관리와 인근 축사로 인한 악취관리 및 강동·천북산단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며 안강지역이 악취관제센터 건립 최적지임을 강조했다. 이강희 의원은 끝으로 “악취관제센터가 자율방범대 및 민간환경단체 등과 협력을 통해 운영된다면 민·관이 환경문제를 소통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며 “이는 지역주민들의 불신 요소를 해소하고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경주시의 적극적인 검토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