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새로워지는 경북도내 지역 안전정책이 소개돼 관심을 끈다. 경북도는 올해 추진하고 있는 안전정책 가운데 도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4개 정책을 선정해 홍보에 나섰다. 전 도민 대상 안전보험 보장 확대 먼저 도민안전보험이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난과 사고로 피해를 입은 도민에게 안전보험금을 지원한다. 경북도와 경주시를 비롯한 23개 시·군이 함께 시행하고 있다. 경북도로 주민등록이 돼있는 주민은 물론 지역에 등록해 거주하는 외국인까지 별도 가입 절차 없이 혜택 받을 수 있는 무료보험이다. 시·군에 따라 보장항목의 종류와 보상한도가 차이가 있다. 경주시의 경우 자연재해 상해사망 폭발·화재·붕괴 상해 사망, 대중교통 사망 및 후유장해, 농기계 사고 상해사망 등 10개 항목에 최대 2000만원까지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다. 경주시는 지난 2019년 6월 1일 9개 보장항목에 최대 1000만원까지 보장하는 내용으로 시민안전보험을 시작했으며, 지난해 6월부터는 10개 항목에 최대 2000만원까지 확대했다. 경주시 시민안전보험은 검색포털에서 ‘시민안전보험’을 검색하면 찾을 수 있다. 보장항목, 보험사(공제사), 담당부서와 홈페이지, 보상사례, 자주 묻는 질문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oT 기술 활용 노후·위험시설 안전관리 강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활용해 교량 등의 노후·위험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교량, 산사태 취약지, 다중이용건축물 등 도내 노후·위험시설 84여개소에 IoT 센서를 설치해 크랙, 기울기 등을 상시 모니터링 한다. 이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전산시스템을 통해 관리주체에게 전달되는 시스템이다. 관리주체는 전달 받은 정보를 활용해 위험요인 제거 및 위험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 등 시설물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안전관리 한다. 이 사업은 행정안전부 공모 선정으로 국비 6억5000만원을 확보했고 지방비 6억5000만원을 투입해 시행한다. 자연재해 예방사업 3557억원 투자 자연재해 예방사업에 3557억원(국비 1141억, 지방비 2416억)을 투자해 자연재해 위험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사업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이 사업 예산은 지난해 대비 약 14.5%(451억원) 증액됐다. 현재 추진 중인 계속사업으로는 212지구에 3489억원을 투입한다. △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 74지구 1162억원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 12지구 471억원 △급경사지 붕괴위험지구 정비 20지구 312억원 △재해위험저수지 정비 17지구 114억원 △우수저류시설 설치 2지구 230억원 등이다. 신규사업은 215지구에 68억원을 투입한다. △스마트 계측관리 시스템 설치 58개소 40억원 △소하천 퇴적토 정비사업 127개소 20억원 △침수우려 취약도로 자동차단시설 설치 2개소 3억원 △23개 시군 지진가속도계측 경북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2억원 등이다. 민간건축물 내진성능평가 및 인증 수수료 지원 도는 2019년부터 도내 민간건축물의 지진 안전성 확보를 위해 내진성능평가 비용 및 인증수수료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사업수요가 증가해 전국 광역지자체 중 가장 많은 국비를 확보했으며, 사업비 6억 8000만원을 들여 추진할 예정이다. 사업대상은 내진성능평가 및 인증을 희망하는 내진성능 미확보 민간건축물이다. 해당 건축물 소재지 시·군 재난 업무부서에 신청할 수 있다. 내진성능평가 최대 3000만원, 인증수수료는 최대 1000만원 범위 내에서 100% 지원한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인천광역시와 더불어 경북도가 유일하게 자부담 없이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민간건축물 내진보강비용 지원사업,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지원사업 등을 통해 시설물 내진성능 확보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김병삼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현장을 더욱 꼼꼼히 점검해 재난 발생과 피해를 최대한 줄이는 해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