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대와 서라벌대 통폐합 선제조건 해결 마감 기한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원석학원 설립자는 통폐합보다는 원자력에너지 추진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진> 지난 9일 김일윤(원석학원 설립자) 전 국회의원이 주도하는 경주 원자력 에너지 메카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출범식을 겸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추진위는 경주는 유일한 방폐장을 유치하고 한수원과 양성자가속기, 원자력연구원, 관련 학과 등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의 최적지라 강조했다. 추진위는 출범식을 시작으로 각종 심포지엄과 연구발표 등의 활동으로 경주시와 경북도가 국제적 규모의 원자력에너지 산업단지 유치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 밝혔다. 김 전 국회의원은 “원자력 발전소와 관련 연구소와 산업체를 경주에 집중 유치해 세계적인 원자력 클러스터를 만들어 국제사회를 선도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추진위 출범과 심포지엄 개최하게 됐다”고 말했다. 출범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주낙영 시장, 이철우 시의회 의장 등이 참석해 축사하는 모습을 보였고 한수원에서 국내외 에너지 시장 동향과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행사 주최가 경북도, 경주시, 한수원, 원자력환경공단 등으로 표기돼 관련 기관들의 교류가 있었던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관련 기관과 별도의 협의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주시 관계자에 따르면 “원자력 관련 추진위 구성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추진돼야 한다”면서 “이번 출범식은 별도 협의가 없었다”고 전했다. 학교 통폐합은? 원석학원 설립자인 김 전 국회의원이 원자력 에너지 추진위 출범 등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자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교육부가 요구한 통폐합 선결과제 해결 기한이 2월로 다가오고 있지만 해결책 마련에 미온적이라는 것. 교육부는 학교 통폐합 선제조건으로 미활용 자산과 차명 토지 매각, 그리고 밀린 임금 해결을 요구했다. 이를 위해서는 미활용 교육용 토지와 차명 관리 토지를 매각해야 함에도 토지 매각을 위한 이사회 승인 등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대학 관계자는 “교육부에 해결안 제출 기한이 다가오고 있지만 해결 방안 제시와 논의 등 현재까지 이뤄진 것 없다”면서 “통폐합은 뒤로한 채 원자력 에너지 추진위 출범과 대규모 인원 동원 모습을 보면서 과연 학교 정상화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한편 ‘경주원자력에너지 메카 출범 심포지엄’에는 600여명의 시민이 참석했다. 참석한 시민들은 노인회 등의 고령자들로 축사가 끝나고 심포지엄이 시작되자 대부분 자리를 떠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