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약은 원자력 선박·해양시스템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위한 상호 협력과 국가 해운 및 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추진됐다. 경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9개 기관 대표들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9개 기관은 △해양용 소형모듈원자로 개발 및 실증 △원자로-선박·해양시스템 인터페이스 기술개발 △소형모듈원자로 추진 선박·해양시스템 기술개발 △소형모듈원자로 활용 해양그린수소생산 기술개발 △선박·해양-원자력시스템 운영 전문 인력 양성 등 산업 인프라 구축 △관련 인허가 대응 체계 구상 분야 등에 협력한다. SMR 중 최근 해양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용융염 원자로(MSR)는 핵연료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외부 노출 시 자연적으로 고체화되는 특성으로 방사능 누출 우려가 적어 해양선박에 최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고도의 안전성에도 구조가 매우 단순해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다.용융염 원자로는 고체의 염을 고온으로 녹인 용융염에 핵연료 물질을 섞어 사용하는 액체연료 원자로다. 이미 EU, 미국 등은 원자력을 활용한 친환경선박 기술개발 및 보급을 위해 다양한 중장기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 정부도 지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해양, 우주 활용을 위한 차세대 원자력 기술을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하고 관련 기술개발이 한창이다.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양선박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2050년까지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50%로 감축하겠다는 온실가스 감축 규제계획을 발표함에 기술 개발이 가속화 됐다. 경주시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국내외 68개 지부를 보유한 한국선급의 선박 안전설계 기술이 모아져 해양운송 분야 일대 혁신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낙영 시장은 “원자력의 해양에너지원 활용은 SMR 등 미래원자로의 핵심 개발분야”라며 “이번 업무협약이 기술개발을 위한 마중물이 돼 국가 해운 및 차세대 원전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