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2022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종합청렴도 1등급’을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3등급에서 2단계 오른 성적이다. 지난 2017년부터 3년 연속 최하위 5등급을 받았던 것을 감안하며 무려 5단계 수직 상승했다.
국민권익위는 지난달 26일 ‘2022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권익위는 매년 중앙부처, 교육청 지방자치단체 등 전국 500여개 공공기관의 청렴 수준 및 부패유발 요인을 평가해 공개하고 있다.그 결과 경주시는 전국 75개 기초자치단체 시 부문에서 청렴노력도 1등급, 청렴체감도 2등급으로 종합청렴도 1등급을 획득했다.
전국 75개 시 가운데 종합청렴도 1등급은 경주시를 비롯해 경기도 경기도 안양시·여주시, 경남 김해시·창원시, 충남 천안시 등 6곳이다. 경북 23개 시·군 중에서는 경주시가 유일하게 1등급을 받았다.
청렴도 평가에서 경주시는 전국 시 종합청렴도 평균 76.6점 보다 무려 10.5점 높은 총 87.1점을 받아 종합 1등급에 올랐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렴체감도 부문’은 81.7점으로 전국 시 평균 78.1점 보다 3.6점 높게 받아 2등급을 기록했다. 특히 청렴체감도 부문 중 외부체감도는 88.6점을 받아 전국 평균 86.6점 보다 2점 앞섰다.
또 내부체감도는 65.4점으로 평균 58.0점 보다 7.4점 앞서 조직 내부와 외부가 모두 청렴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또 부패실태 부문은 0점으로 부패사건으로 인한 감점요인이 단 한 건도 없는 한 해를 기록했다.
‘청렴노력도 부문’에서는 △반부패 추진계획 수립 △기관장·고위직 노력과 리더십 △이해충돌방지제도 운영 기반 구축 △반부패·청렴교육 실효성 제고 △반부패 시책에 대한 내부직원 평가 등 5개 세부 항목이 최고 점수인 100점을 받았다.
청렴도가 크게 개선된 것은 경주시가 민선 7기 출범 이후 강도 높은 반부패 청렴정책을 집중적으로 펼쳐온 것이 주요했다는 평가다.
시는 2020년 청렴윤리팀 신설을 시작으로 실무체계를 구축하고 시장이 직접 주관하는 클린 경주 추진기획단을 운영해 실효성 있는 청렴정책을 추진해 왔다.
권위주의의 상징이던 ‘시장 관사’ 폐지와 ‘주니어 직원 및 직렬별 간담회’, ‘청렴메시지 전파’ 등 취약분야 내·외부 소통을 지속하며 청렴한 조직문화를 조성해온 것도 한몫했다.
주낙영 시장은 “종합청렴도 1등급 달성은 민선7·8기 경주시가 그간 추진해 온 청렴에 대한 의지와 노력을 경주시민들께서 긍정적으로 평가해 준 결과”라며 “경주시는 앞으로도 시민 및 관련단체와의 소통을 확대하고 제도개선을 통한 청렴문화 정착에 집중해 청렴 1등급 유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