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기간인 21일부터 24일까지 경주에서는 시민과 귀성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국립경주박물관과 경주엑스포대공원은 각각 ‘문화 한마당’과 ‘설날 전통놀이 한마당’이 펼쳐진다. 경주시시설관리공단은 설 연휴 동안 지역 내 사적지를 정상 운영하고, 일부를 제외한 주차장을 무료개방한다. ■ 국립경주박물관, 소원도 빌고 복주머니도 받아가세요~ 설 당일 제외한 3일간 문화 한마당설 연휴 3일간 ‘국립경주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행사는 21일부터 24일까지 설 당일인 22일을 제외한 총 3일 동안 열린다. 새해 소망카드 만들기, 계묘년 복주머니 증정, 신나는 민속놀이 등 관람객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체험 중심으로 행사가 진행된다. 신라미술관 로비에서는 관람객 누구나 ‘새해 소망카드 만들기’에 참여할 수 있다. 가족과 함께 올 한해 이루고 싶은 소망을 카드에 적어 행사장에 있는 소망나무에 달아보는 체험 활동이다.어린이박물관 입구에서는 어린이 관람객을 대상으로 계묘년 설날맞이 복주머니가 증정될 예정이다. 복주머니 속에는 온 가족이 모여 만들 수 있도록 연 만들기 키트, 신라 색칠카드 세트 등 다채로운 선물이 들어있다. 설 연휴 기간 매일 300명의 어린이에게 선착순 증정된다.그리고 설 연휴 기간 박물관 야외마당에는 다양한 전통 놀이 체험장이 준비된다. 투호놀이, 윷놀이, 팽이치기, 제기차기 등 온 가족이 박물관에서 전통 놀이를 체험해볼 수 있다. 설맞이 문화행사는 별도 예약 없이 박물관을 찾는 모든 관람객들이 참여할 수 있다. ■ 경주엑스포대공원 ‘전통놀이 한마당’껑충뛰기·제기차기 경품 이벤트 토끼띠 할인, 한복체험, 공연 등 ‘풍성’경주엑스포대공원은 토끼띠 할인과 ‘설날 전통놀이 한마당’ 행사를 마련했다. 행사는 설 연휴기간인 21일부터 24일까지 매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공원 내 곡수원 일원에서 진행된다.설날 전통놀이 한마당 행사는 전통놀이 체험, 공연, 한복 체험(유료), 경품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전통놀이 체험으로는 투호 던지기와 제기차기, 윷놀이, 한궁 체험 등으로 가족단위 관람객들에게 유익한 체험과 즐거운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공연 프로그램은 낮 12시 전통가요인 트롯트 공연과 오후 2시 통기타 공연이 각각 30분씩 진행된다. 유료로 진행되는 한복 체험은 1시간에 5000원이다. 예쁜 한복을 입은 사진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리고 해시태그(#경주엑스포)를 붙여, 현장(사진)스텝에게 보여주면 즉석 기념사진을 찍어준다. 가장 관심이 모아지는 경품이벤트는 토끼해를 맞아 토끼처럼 멀리 뛰는 ‘껑충뛰기왕’과 ‘제기차기왕’ 이벤트를 준비했다.  ‘껑충뛰기왕’은 제자리 멀리 뛰기 방식으로 가장 멀리 뛰는 순서대로 경품과 기념품이 제공될 예정이다. ‘제기차기왕’은 개수를 기준으로 많이 찬 순서대로 주어진다.경품으로는 충전식 손난로, 접이식 핸드카트(장바구니), 토끼석고방향제, 토끼저금통, 경주엑스포 기념스티커 등이 준비돼 있다. 경품 이벤트는 공연 앞뒤 시간에 30분 정도로 진행될 예정이다. ■ 경주시시설관리공단, 사적지 등 정상 운영대다수 공영주차장 무료 개방 한복 착용 사적지 무료입장경주시시설관리공단은 연휴기간 모든 사적지와 오류캠핑장, 토함산자연휴양림을 정상 운영한다. 체육시설은 국민체육센터와 북경주체육문화센터는 연휴기간 운영하지 않고, 나머지 시설은 설날 당일 하루만 휴무한다. 공영주차장은 사적지·신경주역·대릉원 황남지구 주차장을 제외한 전 노상·노외 주차장을 무료 개방한다. 다만, 주차질서 유지를 위해 성동시장·중앙시장·제1공영·중심상가 공영주차장은 설날 연휴 첫날은 유료 운영할 예정이다.또 한복을 입은 관람객에 대해서는 모든 사적지에 무료로 입장할 수 있도록 했다. ■ 경주 동궁원, 한복입고 방문 시 무료입장 느티나무 광장서 민속놀이 체험 이벤트도경주 동궁원에서도 설 연휴기간인 21일부터 24일까지 한복을 입고 식물원을 방문하는 입장객들을 대상으로 특별 무료입장(버드파크 제외) 이벤트를 진행한다.같은 기간 동궁원 느티나무 광장에서는 신나는 투호와 제기차기, 팽이치기, 주령구 놀이 등의 민속놀이 체험도 선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