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 안전지수 등급이 상승하며 개선 우수지역으로 평가받았지만, 교통사고 등 분야에서는 여전히 하위등급을 유지해 맞춤 안전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행정안전부가 공표한 전국 지역안전지수를 토대로 최근 3년간 경주시 평가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 행안부 지역안전지수는 2021년 통계를 기준으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를 계량화했다. 최고 1등급부터 최하 5등급까지 부여하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지수는 사망·사고발생 통계 등 위해지표, 위해를 가중시키는 취약지표 및 감소시키는 경감 지표를 반영해 산출하고 있다. 조사 결과 경주시는 6개 분야 중 범죄 2등급, 자살과 감염병은 각각 3등급으로 나타났다. 이들 3개 분야 안전지수는 전년보다 각각 한 등급씩 올라 ‘개선 정도 우수지역’으로 꼽혔다. 특히 ‘개선 정도 우수지역’에는 전국 226개 시군구 중 47곳만 포함됐는데 경주시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분야는 안전지수가 낮은 4등급을 받았다. 이들 3개 분야는 전년도 조사결과에서도 4등급으로 나타났었다. 이 같은 영향으로 경주시는 평균 등급 3.3으로, 전국 75개 시 단위 가운데 48위,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경북도내 10개 시 단위 중에서는 경주시가 4위로 중상위권이었다. 도내 10개 시 가운데는 구미시가 평균등급 2.7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포항시 3.0, 경산시 3.2 등의 순이었다. 또 최근 3년간 경주시의 지역안전지수 평균등급은 2019년 3.5, 2020년 3.8, 2021년 3.3으로 조금씩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범죄 분야에서는 2019년, 2020년 3등급에서 2등급으로 한 단계 올라갔다. 이는 인구 만명당 5대 주요 범죄 발생건수 등이 줄고, 범죄예방 CCTV 대수와 아동안전지킴이집 수가 증가하는 등 경감지표가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또 자살과 감염병 분야도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자수 및 법정감염병 사망자수가 줄고, 사회복지보건 예산액 비율과 보건기관 인력수, 건강실천율 등의 증가로 4등급에 머물던 평가가 3등급으로 올랐다. 반면 하위등급인 4등급에 머무르고 있는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분야는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화재사망자·생활안전관련 구급건수 등 위해지표가 줄지 않았다는 분석 결과다. 이에 따라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등 3개 분야의 안전대책에 대한 재점검을 통해 개선방안을 서둘러 모색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한편 행정안전부가 공표를 시작한 2015년 조사결과 대비 경주시의 지역안전지수 개선폭은 더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엔 △화재 △교통사고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등 7개 분야 안전수준을 계량화했다. 교통 분야는 최하위인 5등급, 화재·안전사고·자살·감염병 등 4개 분야 4등급, 자연재해·범죄 분야는 각각 3등급을 받아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경주시 관계자는 “지역 안전지수 결과를 토대로 안전정책을 점검·평가해 시민이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2022년 지역안전지수 공표 결과는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및 생활안전지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행안부는 2022년 지역 안전지수 결과를 바탕으로 전년 대비 등급 개선도가 높은 지역은 3%, 개선이 필요한 지역은 2%의 소방안전교부세를 지원해 안전수준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또 올해는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각종 지수, 진단 등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안전지수 지표의 대표성을 개선하고, 지수 공표 후 자치단체 주도의 개선사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안전진단 및 상담(컨설팅) 등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키로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