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경북이 주도하는 대한민국 지방시대를 구체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도는 지난 21일 조직개편 계획을 발표했다.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통한 지방시대 주도 △디지털 전환 대비 첨단과학산업의 유치와 육성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조기 건설과 지역 유망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민간주도형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뒀다.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를 위해 ‘지방시대정책국’을 신설한다. 청년층 이탈과 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지방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지방시대정책국에는 지방시대정책과, 인구정책과, 청년정책과, 교육협력과, 외국인공동체과를 둔다. 지방시대정책과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를 줄이고 지방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초광역협력 사업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고 중앙 권한의 지방이양을 추진한다. 또 인구감소와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시·군에 외국인·동포의 유입으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외국인공동체과를 신설한다. 또한 교육협력과(기존 교육정책과)와 청년정책과(기존 청년정책관)를 지방시대정책국으로 이관한다. 4차산업혁명시대 첨단과학산업 중심의 ‘메타버스과학국’을 신설한다. 메타버스과학국은 메타버스, AI, 5G, ICT, 빅데이터, 정보보안기술 등의 첨단과학 신기술 유관부서를 일원화하고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신설된다. 메타버스혁신과, 과학기술과, 4차산업기반과, 빅데이터과, 정보통신과로 편성한다. 기존 과학산업국의 기능 중 4차산업혁명의 근간이 되는 로봇, AI, 5G, IOT 중심의 과학기술정책과와 4차산업기반과를 메타버스과학국으로 옮기고, ICT, 클라우드 중심의 정보통신과도 자치행정국에서 메타버스과학국으로 이관한다. 경제정책을 통한 지역유망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제산업국’도 신설한다. 경제정책노동과, 기업지원과, 사회적민생경제과, 소재부품산업과, 바이오생명산업과, 교통정책과, 외교통상과로 구성된다. 경제정책노동과와 사회적경제민생과를 신설하고, 중소벤처기업과는 기업지원과로 명칭을 변경한다. 또 과학산업국에서 추진하던 지역 대표산업인 바이오산업과 소부장산업을 경제산업국으로 이관하고 기업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제공으로 경쟁력을 확보한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기 건설을 위해 ‘통합신공항추진본부’를 신설한다. 도는 행안부로부터 한시기구로 승인받아 통합신공항추진단(4급)을 통합신공항추진본부(3급)로 확대·신설한다. 통합신공항추진본부에는 공항정책과를 신설하고, 공항 주변 신도시 조성과 공항 연계 광역교통망을 구축하는 공항신도시조성과도 신설한다. 행정수요를 반영한 행정기구의 신설과 개정도 함께 진행한다. 아이여성행복국의 아이세상지원과와 여성가족행복과를 통폐합해 행정부지사 직속 여성아동정책관을 신설한다. 건설도시국에 있던 신도시활성 업무와 자치행정국 청사관리·운영 업무를 통폐합해 자치행정국 내 공공시설과를 신설한다. 또 포스트 코로나19에 대응해 감염병 예방 역량 강화를 위해 보건환경연구원의 보건연구부를 감염병연구부와 식의약연구부로 분리한다. 야간에도 산불 진화가 가능한 119산불특수대응단도 신설한다. 어업기술센터를 어업기술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도민과의 소통 강화 하고 여론 수렴을 위해 대변인을 개방형 직위로 전환한다. 이번 조직개편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