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선·중앙선 폐선에 따른 폐철도 활용사업과 관련 도심 외곽 철도부지 인근 주민들의 정주여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재필 경주시의회 의원은 지난 20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역 내 몇몇 사례를 들며 경주시가 폐철도 활용사업에 주민안전을 위한 사업을 서둘러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그 사례로는 78가구가 거주하고 있는 석장동 부엉마을을 들었다. 이곳 마을을 지나는 철도는 1918년 개설되면서 통로박스나 철교가 설치됐는데, 소형 펌프차나 중형급 소방차 정도만 진·출입이 가능해 재해발생 시 인적·물적 피해가 상당히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또 배반동 하강선길, 안강읍 안현로 등에도 재난발생 시 진·출입에 어려움이 있다고도 했다. 지적의 핵심은 폐철도 활용사업과 관련해 경주시가 도심을 제외한 교외지역은 소홀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점이다. 폐철도 활용방안을 도심형과 교외형으로 구분한다면 도심형에 비해 교외형은 활용방안 사업에서 관심 밖으로 밀려나 예산조차 수반되지 않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물론 폐철도·폐역사 활용까지는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소유권과 관리권을 갖고 있는 국가철도공단 등과의 협의도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그동안 경주시는 국가철도공단에 폐철도 구조물 철거와 주변정비를 지속적으로 건의했고, 황오지하차도 평면화사업을 서둘러 추진하는 등 숱한 노력도 있어왔다. 하지만 주민들이 체감할 정도의 안전과 관련한 사안에 대해서는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철도가 운영돼왔던 오랜 세월동안 인내하며 지내왔던 주민들의 고충을 고려한다면 폐철도 활용사업의 우선순위에 올라야 마땅하다. 지금부터라도 재해 상황 발생 시 폐철도와 시설로 인한 긴급차량 진·출입이 어려운 곳이 없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예산을 반영해 개선해주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