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청년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가 지난 15일 발표한 ‘2021 경북 청년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경북도 청년 인구(만 15세 이상∼39세 이하)는 66만6600명(25.4%)이다. 이는 2020년 대비 0.8%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2012년과 대비해서는 6.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5.4%, 다른 도 지역 5.5%에 비해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이다. 장래 청년인구도 향후 15년간 계속 감소해 2037년 청년인구는 47만4700명(19.1%) 수준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1년 경북 청년의 총전입은 14만2900명, 총전출은 15만1100명으로 순이동 -8200명, 순이동률은 -1.2%로 나타났다. 연령별 순이동률은 20∼24세 -3.7%, 25∼29세 -1.8%, 30∼34세 -0.4%로 20대 인구 유출이 가장 많았다. 전출을 하게 된 사유로는 직업이 47.5%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 22.4%, 교육 12.9% 등의 순이었다. 2021년 하반기 청년 경제활동인구는 37만2600명이고, 고용률 53.3%, 실업률은 2.9%였다. 고용률은 도내 시 중에서 영천(57.3%), 구미(55.5%), 경주(53.2%) 순이었고, 군 중에서는 울릉(83%), 청송(69.9%), 울진(68.6%) 순으로 높았다. 출산율은 2020년 기준 1000명당 38.2명으로 2019년에 비해 2.9명 줄었다. 사망률은 2020년 기준 10만명당 61.6명이었다. 청년 가구 수는 22만712가구로 전체 가구의 19.7%를 차지했다. 1인 가구는 11만1743가구였으며, 구미시(47.2%)에 청년 1인 가구가 가장 많았다.경북도는 청년층 통계를 생산·분석해 정책 추진에 활용하기 위해 2018년부터 2년마다 청년통계를 작성해 오고 있다. 경북 청년통계는 도, 고용노동부, 연금공단 등 기관 행정자료와 주택소유통계, 신혼부부통계, 지역별 고용조사 등 10여종의 국가승인통계를 집계·연계·결합해 작성된 가공통계다. 이번 통계는 인구·가구, 경제, 일자리, 창업, 복지, 건강 등 6개 분야로 구성돼 있으며 모든 지표는 시군별·연령별·성별로 세분화해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통계를 작성해 제공한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버스정책관은 “청년통계는 정책 추진을 위한 귀중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며 “통계자료를 잘 활용해 각종 정책에 활용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 청년통계는 도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열람 가능하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http://kosis.kr)에도 DB 자료를 구축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